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시위와 파업

與 “보조금 유용 의혹 전장연, 장애인에 월급 주고 시위 동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힘 ‘시민단체 선진화 특위’ 브리핑서 관련자 진술 공개

“돈 벌기 위해 시위 참여” “시위, 장애인에 버거운 노동”

조선일보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시민단체 선진화 특별위원회 3차회의에서 위원장인 하태경 의원이 전장연 단체 관계자 증언을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장연이 장애인에게 돈을 주고 교통방해 시위에 동원했다’는 증언을 확보했다고 국민의힘이 7일 밝혔다. 이 과정에서 시위에 불참하는 장애인은 각종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취지의 협박도 있었다고 국민의힘은 덧붙였다.

국민의힘 ‘시민단체 선진화 특별위원회’(특위)는 7일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어, 당 장애인 비례대표 국회의원인 이종성 의원 측이 전장연 관계자를 인터뷰한 내용 일부를 공개했다.

하태경 특위 위원장은 브리핑에서 “전장연 관련해서 저희들이 제보를 어렵게 확보한 게 있어서 알려드린다”며 “저희들이 인터뷰를 하고 녹음을 가지고 있지만 녹음 공개를 당사자들이 원치 않아서 핵심적인 내용만 글로 풀어서 알려드린다”고 했다.

하태경 위원장은 “전장연 소속이었던 (장애인) A씨라는 분은 지난 3월 28일 인터뷰에서 ‘과격한 형태의 일자리는 장애인에게 버겁다. 장애인들도 싫어한다. 일자리 노동을 농성 지하철 점거로 축소시켜 버린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며 “다른 (장애인) B씨는 지난 3월 27일 인터뷰에서 ‘돈을 벌기 위해 시위에 참여한다. 월급 받으니까 참여한다. 참여하지 않으면 잘라버린다는 협박을 받았다’고 말했다”고 했다.

하태경 위원장은 “세 번째 분은 전장연 소속은 아닌데 이분이 전장연 소속 분들하고 인터뷰를 해보니 ‘의도하지 않아도 월급 받기 위해 참여하는 것이다. 돈 받을 수 있으니 억지로 참여한다. 장애인들도 피해자다. 태극기 집회 참여하면 돈 준다고 비판했었는데 이게 뭐가 다르냐’고 하셨다는 거다”라고 했다.

이어 “조건부로 월급을 줬다는 것은 확실하고, 지하철 시위 참여한 것도 노동시간으로 산정을 해서 돈을 준 건지 확인하려고 시도를 했는데 인터뷰를 하기가 어려웠다”며 “그 부분은 수사를 통해서 밝혀져야 한다고 본다. 시위 참여를 안 하면 월급, 일자리 안 주겠다 협박했다는 거 자체가 전장연의 윤리적 파산 문제라는 판단이 들어서 공개한 것”이라고 했다.

하태경 위원장은 “이런 내용을 알려주고 저희 위원회랑 협력했던 한 장애인단체가 있는데 (전장연을) 직접 고발하겠다고 연락이 왔다”며 “(구체적인 고발 계획은) 내일 시간, 장소가 정해지면 알려드리겠다. 고발 내용도 내일 공개하겠다”고 했다.

전직 전장연 관계자를 직접 인터뷰한 이종성 의원실 관계자는 조선닷컴과의 통화에서 “A‧B씨는 모두 장애인으로 전장연에서 어떤 직책을 맡고 있는 분들은 아니고, 전장연이 하는 사업에 비정기적으로 참여하셨던 분들”이라고 설명했다.

‘두 분이 언론에 직접 입장을 밝힐 수는 없느냐’는 질문에는 “자신들의 신상이 공개되는 것은 원하지 않으신다”고 했다.

하태경 위원장에 따르면 전장연 소속 단체들은 서울시에서만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18개 사업에서 476억의 보조금을 받았다.

하태경 위원장은 “전국적인 규모는 훨씬 더 많다”며 “그리고 이들 단체들은 이런 보조금을 미끼로 중증장애인들을 전장연의 각종 불법 집회와 시위에 참여시키고 있다. 국민의 질타가 무섭다면 중증장애인들을 더 이상 불법 집회와 시위에 동원하지 않으면 된다”고 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지난달 29일 시민단체의 각종 부정·부패 논란에 대응하기 위해 ‘시민단체 선진화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특위는 활동 목표에 대해 회계 부정, 괴담 유포, 폭력 조장 등을 ‘시민사회 3대 민폐’로 규정하고 근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명일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