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자영업자 40.8% “3년 내 폐업 고려”.. 정부엔 19.0% “공공요금 인상 억제·인하해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경련, 음식점 숙박 도·소매업 자영업자 500명 조사 결과

63.4% "상반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감소"...50.8% "하반기 실적 상반기보다 감소할 것"

정부 정책으로 ‘저금리 대출 등 자금 지원 확대’(18.5%), ‘소비심리 회복 위한 촉진 지원’(16.6%) 등 요구

세계일보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영업자 10명 중 5명이 하반기 실적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작년보다 올해 상반기 매출이 감소했다는 자영업자도 60%에 달했다.

지난해 4월∼지난 6월까지 방역 규제의 점진적 완화·해제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지만 원자재 및 재료비, 인건비, 공공요금 등의 경영 비용 증가에 따라 경영 환경이 녹록지 않다는 게 이들 자영업자의 설명이다.

2일 뉴스1에 따르면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자영업자 2023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설문조사’를 한 결과 상당수는 하반기에도 경기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조사는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했다.

올해 상반기 매출과 순익 실적에 대한 질문에 자영업자의 63.4%는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답했다. 순익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63.8%로 나타났다.

하반기 매출 전망과 관련해 상반기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의견이 50.8%,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49.2%로 각각 나타났다.

올해 가장 부담이 된 경영비용 증가 항목으로는 원자재·재료비(20.9%) 인건비(20.0%)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18.2%) 임차료(14.2%)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고정비용 부담에 기존 대출 상환을 위해 추가 로 돈을 빌리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조사 대상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약 83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 규모가 1억원 미만이라는 답변이 대부분(75.4%)이었고 1억5000만원 이상이라는 응답은 약 13.4%였다.

한편 자영업자의 51.2%는 올초에 비해 대출 금액이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감소했다는 응답은 48.8%였다.

대출 증가 이유로는 ‘임차료, 인건비, 공공요금 등 고정비 지출’(46.9%), ‘기존 대출이자 상환’(25.0%), ‘원자재·재료비 지출’(15.2%) 등 확장 혹은 투자를 위한 추가 대출보다 기존 사업 유지를 위한 대출이 많았다.

반면 대출 감소 이유로는 ‘향후 금리 상승 우려로 기존 대출 축소’(40.6%) 답변이 가장 많았다. 그 뒤를 ‘매출 및 수익성 개선으로 인한 기존 대출 상환’(20.9%), ‘한도 문제로 추가 대출 불가’(17.2%) 등이 이었다.

내년 이후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자영업자의 절반 가까이가 실적 악화에 따라 3년 내 폐업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경기회복 시기에 대해 자영업자들의 84.4%가 내년인 2024년 이후로 전망했다. 올 하반기에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고 보는 비율은 12.8%에 불과했다.

자영업자의 40.8%가 향후 3년 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폐업을 고려하게 된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9.4%) ,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6.7%),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4.2%) 등 순이었다.

폐업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이들 가운데도 ‘특별한 대안 없음’(22.3%) 등을 포함해 부정적인 이유가 53.1%로 긍정적 이유(25.5%)보다 두배 넘게 컸다.

이 밖에도 올해 경영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 ‘임차료 상승 및 각종 수수료·세금 부담’(21.1%), ‘수입물가 상승으로 원재료 매입비 부담’(17.2%), ‘고금리 지속, 만기 도래 등 대출 상환 부담’(16.7%) 순으로 답변했다.

자영업자를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는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19.0%), ‘저금리 대출 등 자금 지원 확대’(18.5%), ‘소비심리 회복을 위한 촉진 지원’(16.6%)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