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월북’ 주한미군 가족 “아마도 7살 사촌동생 때문일 듯”…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월북한 주한미군 트래비스 킹.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본국 송환을 앞두고 갑자기 공동경비구역(JSA)를 통해 월북한 미군 병사에 대해 가족들이 그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이유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AP통신이 20일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미군 병사 트래비스 킹(23)은 지난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견학하다 무단으로 군사분계선을 넘어 월북했다. 이에 킹의 월북 동기를 둘러싼 의문이 커지고 있다.

그가 왜 그런 결정을 내렸는지에 대해 직접 밝히지 않았고 주변에 딱히 암시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그가 한국에서 모종의 사건으로 수감돼 있다 징계를 받기 위해 미국으로 돌아가기 전 심리적 압박을 받았을 것이라는 짐작만 있을 뿐이다.

미국에 있는 가족들도 킹의 갑작스러운 돌발 행동에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킹의 외할아버지 칼 게이츠는 AP통신에 “트래비스가 제정신이라면 그런 일을 일부러 벌이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트래비스는 착한 아이다. 누구를 해치려 하지 않고 스스로를 해치려 하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그의 외숙모인 라케이아 나드는 자신의 아들, 즉 킹의 사촌 동생이 올해 초 숨진 것이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의 7살 짜리 아들과 친했는데 올해 2월 희소 유전질환으로 숨져 킹이 큰 충격을 받았을 것이라는 게 그의 추측이다.

AP 통신은 친척들이 킹을 조용한 외톨이로 묘사했다고 전했다. 술과 담배를 하지 않고 성경 읽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 또 위스콘신주에서 자란 그가 한국에서 조국을 위해 봉사하는 것에 들떠 있었다고 한다.

그와 함께 견학을 했던 뉴질랜드 관광객 사라 레슬리도 기념품 가게에서 모자를 구입하는 등 일반 관광객처럼 행동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런 킹이 투어가 거의 끝나 단체 사진을 찍고 견학을 마무리할 즈음 갑자기 튀어나가 군사분계선을 넘어가 버린 것이다.

미국 정부의 한 관계자는 로이터에 킹이 본국행 비행기를 타러 공항에 갔다가 공항에 있는 JSA 관광 광고를 보고 관광 대열에 합류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가 사전에 월북을 준비한 것이 아니라 즉흥적으로 그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 정부는 킹의 송환을 위해 북한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