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北 “24~31일 위성발사” 통보...한미훈련기간 노렸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해사기구 조정국 日에
위험구역 설정 등 통보
韓日 “북에 즉각 철회 촉구”


북한이 오는 24일 0시부터 3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통보했다. 북한은 지난 5월 실패했던 군사정찰위성을 3개월만 다시 발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21일 시작돼 오는 31일까지 진행되는 한미 연합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 훈련에 맞불 성격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정부는 북한이 오는 24일 0시부터 3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해왔다고 22일 밝혔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새벽 인공위성 발사에 따른 위험수역으로 북한 남서쪽 황해 해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을 설정했다.

외교부 임수석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지난 5월과 마찬가지로 위성 발사 계획을 국제해사기구의 지역별 항행구역 조정국인 일본 측에 통보했다”며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발사 예고를 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이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일본은 국제해사기구(IMO) 총회 결의서에 따라 운영되는 전세계항행경보제도(WWNWS)상 한국과 북한이 속한 지역의 항행구역 조정국으로, 지난 5월에도 북한은 일본측에 계획을 통보하고 위성을 발사했으나 실패로 끝난 바 있다.

북한은 이후 지난 6월 16∼18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8차 전원회의에서 정찰위성 발사 실패를 ‘가장 엄중한 결함’으로 꼽고, 이른 시일 내 성공적으로 재발사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왔다. 따라서 이번 위성 재발사는 다음 달 9일 북한 정권 수립 75주년을 앞두고 축제 분위기를 띄우겠다는 의도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북한의)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비판했다. 이어 “정보 수집과 경계 감시에 전력을 쏟겠다. 미일, 한미일 차원에서 연계해 대응하겠다”며 북한에 발사중지를 요구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