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中경제 둔화에도 韓 등 증시 호조, 왜?…"장기화 땐 타격 불가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대외적으로는 큰 타격을 미치지 않은 중국의 경제 둔화가 지속될 경우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중국 지수가 6% 하락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일본의 토픽스지수는 24% 상승하고 대만 자취안지수와 한국의 코스피는 각각 18%와 15% 올랐다.

일본에서는 자사주 매입과 배당이 증가한 데다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지지 발언을 해준 것이 상승세를 부추겼다.

대만과 한국 증시는 반도체 업황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했다.

중국 증시를 이탈한 외국인 자금이 일본과 한국 등으로 옮겨 온 것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일부 다국적 기업이 공급망 다각화를 위해 생산시설을 중국 외 다른 아시아 국가로 이전하는 것도 호재가 됐다.

골드만삭스는 그러나 최근 중국과 인근 아시아 시장 간의 상관관계가 높아져서 결국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일본과 한국 등 아시아 태평양지역 국가들의 최대 교역국인 만큼 중국의 수요 약화가 인접 국가로 확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에 대한 수출이 전체의 20%를 차지하는 한국의 경우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대(對)중국 수출이 지난해 동기에 비해 25% 감소했다.

아울러 부동산 부문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투자감소는 원자재 가격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

올해 들어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은 자동차와 인프라 수요가 부동산 건설 부문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탄력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투자가 지속해서 약세를 보이면 호주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원자재 수출국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경기에 대한 소비자 신뢰 약화는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들에도 타격이 될 수 있다.

결국 중국이 아시아지역의 경제 대국인 만큼 중국의 고통이 이웃국들에 이익이 될 가능성은 낮다고 WSJ은 덧붙였다.

송무빈 기자(moving@chosun.com)

-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