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리창 중 총리, G20 정상회의서 ‘오염수 비판’ 언급 안 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본 “의도 신중히 분석”

한겨레

리창 중국 총리가 6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중국’ 정상회의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리창 중국 총리가 9~10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일본의 오염수 방류에 대해 아무 언급을 하지 않았다. 오염수 갈등에서 출구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리 총리는 9일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발언 시간에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일본을 겨냥해 아무런 비판을 하지 않았다. 사흘 전인 6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의에서 ‘핵 오염수’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세계 해양 생태 환경과 사람들의 건강에 관련이 있다”며 일본을 비판했던 것과 사뭇 다른 모습이다.

오히려 리 총리보다 늦게 발언에 나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오염수와 관련해 중국을 염두에 두고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한 것은 “돌출된 행동”이라고 비판의 날을 세웠다. 다만 중국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일부 국가’라는 표현을 썼다. 일본 민영방송 네트워크 에이엔엔(ANN)은 “리 총리가 일본을 비판하지 않자, 기시다 총리도 중국을 지목하는 것을 피했다”고 전했다.

기시다 총리가 국제회의를 이용해 ‘오염수 외교’를 적극 펼치고 한국이 일본의 방류를 용인하면서, 나 홀로 ‘일본산 수산물 전면 금지’라는 칼을 빼든 중국이 고립된 상황이다. 이 틈을 타고 윤석열 대통령이 7일 리 총리와 만나 한·중·일 정상회의 조기 개최 의사를 전하자 리 총리도 “적극 호응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이 중-일 관계가 더 이상 악화되지 않게 ‘출구 전략’을 모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시다 총리도 10일 기자들과 만나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국제사회에서 이해가 한층 넓어졌다”고 말했다. 리 총리가 오염수 비판을 자제한 것은 이런 분위기가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중국은 한국도 (오염수 방류) 반대에 동참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동조는 확산되지 않았다”며 “일본 정부는 (수산물 수입 금지 관련해) 중국 대응에 변화가 없는지 신중하게 분석 중”이라고 전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