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정치계 막말과 단식

상처만 남은 야당 대표 ‘최장 단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명 ‘24일의 단식’ 중단

체포안 부결 호소 ‘방탄 단식’ 오명
민주당 내홍에 정부·여당은 ‘조롱’
극단 대결의 정치 현주소 드러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단식 24일째인 지난 23일 단식을 중단했다. 단식 명분으로 내걸었던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나 국정기조 전환 등 얻어낸 것은 없다는 평가가 많다. 자신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 전날 부결을 호소하며 ‘방탄 단식’이란 오명과 극심한 당 내홍이란 상흔을 남겼다. 정부·여당은 국정 파트너인 제1야당 대표의 단식을 조롱하는 하류 정치의 모습을 보였다. 이 대표 단식을 계기로 한국 정치는 타협이 실종되고, 극단의 대결만 남은 민낯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민주당에 따르면 이 대표는 단식투쟁 24일 차인 전날 단식을 중단했다. 강선우 대변인은 “더 이상의 단식은 환자 건강을 심각히 위해할 수밖에 없다는 게 의료진 소견”이라며 “(단식 중단은) 대표의 결정이 아니었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26일 예정된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 대비에 돌입했다. 이 대표가 직접 출석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이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이날 “나갈 수 있는 건강 상태가 되는 게 우선이고, 변호인들이 최종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달 31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무능폭력정권을 향해 ‘국민항쟁’을 시작하겠다”며 국회 본청 앞에서 무기한 단식에 돌입했다. 그는 민생 파괴·민주주의 훼손에 대한 대통령 사과, 일본 오염수 방류에 대한 정부의 반대 천명과 국제해양재판소 제소, 전면적 국정쇄신과 개각 등을 요구했다.

이 대표의 24일간의 단식은 한국 정치사상 야당 대표 단식 중 최장기로 기록됐다. 전두환 독재정권에 항거한 김영삼 전 대통령(YS)의 23일간 단식 기록을 경신했다. 당내 일각에선 이 대표가 단식을 통해 지지자들을 결집하고, 검찰과 여권이 “과도하다”는 여론을 만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가시적인 성과물이 거의 없다는 평가가 많다. 오히려 단식의 목적이 자신의 사법 리스크 방어용이란 점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많다. 이 대표는 체포동의안 표결 전날 “가결은 정치검찰의 공작수사에 날개를 달아줄 것”이라며 부결을 호소했다. 지난 6월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선언한 불체포특권 포기를 번복한 것이자 ‘방탄 단식’을 자인한 것이란 비판이 쏟아졌다.

이재명 단식이 남긴 것

체포동의안 가결로 당엔 상처가 남았다. 이 대표는 22일 “국민을 믿고 굽힘 없이 정진하겠다”고 밝혔다. 대표직을 내려놓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이 대표 측 인사들은 비명계 의원들을 겨냥해 가결은 해당 행위라며 이름을 드러내라고 압박했다. 당 관계자는 “투표 결과로 색출을 시도하고, 무기명 투표 사진을 올리는 모습을 보면서 ‘민주당에 민주가 없다’는 비판을 부정할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 대표 단식 기간 중 정치권은 유례없는 대결 정치를 보였다. 지난 21일 본회의는 헌정 사상 처음 있는 일들로 도배됐다.

검찰의 회기 중 구속영장 청구와 이에 따른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에, 민주당은 한덕수 국무총리 해임건의안과 안동완 검사 탄핵소추안 표결로 맞섰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4일 “실제 단식인지 쇼인지도 의문”이라며 “ ‘관종 DNA’만 엿보인다”고 말했다. 대통령실과 정부에선 누구도 이 대표를 찾아가지 않았다. “누가 단식하라고 했느냐”는 대통령실 관계자의 비아냥이 보도됐다. 대화와 타협은 사라지고, 극단적인 대결로 점철된 한국 정치의 현주소를 드러냈다.

박순봉·탁지영 기자 gabgu@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