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전쟁 와중에 가짜뉴스 온상된 머스크의 '엑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무력 충돌에 따른 긴장이 고조하는 가운데 소셜미디어(SNS) '엑스'(X·옛 트위터)에서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가 확산하면서 혼란을 더 부추기고 있습니다.

9일(현지 시간) CNBC 등 현지 매체 등에 따르면 지난 7일 새벽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가 이스라엘 공습 직후 X에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병원에 긴급 이송됐다는 게시물이 올라왔습니다.

이 게시물에는 네타냐후 총리 사진과 함께 병원 이름까지 포함돼 있었고, '예루살렘포스트'라는 이스라엘 현지 언론사 출처도 명기돼 '신뢰성'을 높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가짜 뉴스로 드러났고, 이 글은 조회수가 100만 명에 육박했습니다.

지난 8일에는 X의 한 계정에는 하마스가 이스라엘 헬리콥터를 격추하는 영상이 게시됐습니다.

이 영상에는 "하마스에 더 많은 힘을"이라는 글도 담겼습니다.

이 영상은 수십만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빠르게 확산했지만, 비디오 게임 '아르마3'에서 연출된 장면으로 드러났습니다.

미국이 이스라엘에 80억 달러 규모의 지원을 승인했다는 백악관 문서도 퍼졌습니다.

하지만 이는 지난 7월 바이든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4억 달러를 지원한 문서를 짜깁기한 것이었습니다.

페이스북과 틱톡 등 다른 SNS 계정에도 가짜 뉴스가 눈에 띄지만, X에 가장 많이 확산하고 있다고 현지 매체들은 진단했습니다.

특히 이 가짜 뉴스가 대부분 유료 계정인 X의 '블루 체크' 계정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이 계정이 '가짜 뉴스' 진원지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블루 체크 마크는 원래 사회적 영향력이 큰 인물이나 기관에 붙여졌으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 인수 뒤 수익 창출을 위해 이를 아무에게나 판매하면서 정보의 진실 여부를 더욱 알기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머스크가 인수 전 트위터 경영진은 조작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에 대응하기 위해 상당한 자원을 투입해왔습니다.

그러나 머스크가 인수한 후 플랫폼 이름을 바꾸고 허위 정보와 선거에 대응한 팀의 인원을 대폭 감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욱이 최근에는 X에서 언론 기사를 링크할 때 기사 제목 등은 빼고 이미지만 올리고 있어 사실 조작을 더 쉽게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백운 기자 cloud@sbs.co.kr

▶ 다시 뜨겁게! SBS 항저우 아시안게임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