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카카오모빌리티, 기술 도용 의혹 해명에도…피해주장 업체 “탄원서 제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혹 제기한 화물맨 “오늘(12일) 공정위·중기부에 탄원서 제출”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나연 기자] 이달 중 ‘카카오T트럭커’ 서비스를 출시해 미들마일(중간물류) 시장에 본격 뛰어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중소업체 기술을 도용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화물 운송 중개 플랫폼 화물맨이 회사 인수 논의 과정에서 카카오모빌리티에 기술·아이디어 정보를 도용당했다고 주장한 것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업계에서 상용화된 기술로, 고유 아이디어라고 보기 어렵다”며 해명에 나섰다. 이에 맞서 화물맨은 공정거래위원회와 중소벤처기업부에 기술을 도용당했다고 호소하는 탄원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12일 카카오모빌리티는 입장자료를 내고 “화물맨이 회사 아이디어라고 주장하는 ‘빠른 정산'과 ‘맞춤형 오더’는 다수 국내 물류 플랫폼 기업들이 오래전부터 제공해 온 기능으로, 화물맨 고유 아이디어라고 보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앞서 화물맨은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신들의 맞춤형 오더와 빠른정산 기능을 도용했다고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에 문제제기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지난 2021년 화물맨 인수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1달여간 실사를 진행했는데, 이때 맞춤형 매칭과 운임 자동 정산 등 화물맨 특허·기술정보가 넘어갔다는 주장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미 ‘정산 지연’을 업계 페인 포인트로 인지해 자체적인 활동을 이어왔다고 반발했다. 지난 2018년엔 외부 자문업체와 ‘화물 차주 대상 운임 선지급 서비스 구축’을 위한 구체적 논의를 진행하는가 하면, ‘콜카드 기반 빠르고 최적화된 매칭(맞춤형 오더)’ 역시 회사가 국내 최초로 고안해 택시·대리 등 서비스에 이미 도입한 방식이라 차용이라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인수를 검토한다면서 기술과 아이디어만 빼갔다는 화물맨 측 주장엔 “양사 간 합의 하에 실사를 진행한 것은 맞다”면서도 “실사 대상 범위도 화물맨이 직접 정했으며, 그 대상은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파악할 수 있는 범위가 아니었다”고 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화물맨) 인수를 결정하지 않은 것은 외부 자문사의 법무·재무·사업 영역 실사 결과, 사업 방향성과 맞지 않아 시너지를 내기 어렵다는 판단이 있었다”면서 “인수를 위한 기업가치 측면도 견해차가 매우 커 인수 검토를 중단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검토 단계 후 인수하지 않았으니 정보 빼내기라고 주장하는 사례로 인해 기업들의 투자·인수 활동이 위축되고 물류 시장 전반 경색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면서도 “화물맨을 포함한 물류 업계 종사자들과 업계 디지털화를 위해 지속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즉각 해명에 나섰지만, 여전히 화물맨은 카카오모빌리티에 기술 도용 소지가 있다고 보고 있다.

임영묵 화물맨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시장 조사를 통해 사업 방향성을 기획했더라도 화물맨 기술을 보면서 사업성에 대한 확신을 얻었다면 기술 도용이라고 볼 수 있다”며 “법적 소송까진 힘들지 않겠냐는 변호사 자문에 따라 일단 가능한 의견 피력을 해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