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與 “KBS, 가짜뉴스 확성기”…野 “박민 사장 선임 비상식적” [2023 국정감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방위

與, 주진우 등 실명 거론 “편파적” 지적

野 “尹 한마디에 수신료 분리징수 졸속”

민주 의원들 ‘낙하산 결사반대’ 등 피켓

장제원 위원장 자제 부탁에도 안 내려

여야 고성 난무하자 한때 정회 선포도

여야는 17일 KBS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에서 보도 공정성 및 신임 사장 임명제청 과정 등을 놓고 격돌했다. 지난 대선 직전 KBS가 ‘김만배·신학림 허위 인터뷰’를 방송에 내보내는 등 불공정 보도를 일삼고 있다는 국민의힘 측 주장에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정부가 수신료 분리징수 및 낙하산 사장을 통한 ‘방송 장악’을 시도하고 있다고 맞섰다.

세계일보

피켓 신경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국민의힘 장제원 의원(오른쪽)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국방송공사(KBS)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조승래 의원에게 노트북에 부착된 피켓을 떼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서상배 선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與 “사이비 유튜브 치어리더냐”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KBS, EBS,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대한 국감은 30여분 만에 파행됐다. 민주당 의원들이 ‘방송 장악 규탄한다’, ‘낙하산 사장 결사반대’ 등이라고 쓰인 피켓을 회의장 내에서 사용하려 했기 때문이다.

장제원 과방위원장은 “정치적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다”며 자제를 부탁했지만 민주당이 완강히 버텼다. 여야 의원 간 고성이 난무하자 장 위원장이 회의 시작 30여분 만에 정회를 선포하기도 했다. 이후 양당이 피켓을 사용하지 않기로 하고 회의가 속개됐지만, 일부 의원들은 질의 과정에서 피켓을 활용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여당은 KBS 보도의 불공정성을 주장했다.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은 대선 정국 당시 KBS의 김만배·신학림 허위 인터뷰 보도 경위를 추궁했다. 김 의원은 “KBS의 방송제작 가이드라인을 보면 사실관계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폭로성 주장은 보도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있다”며 “가이드라인을 잘 지켰는가”라고 했다.

김병욱 의원은 “KBS 시사 프로 진행자들이 대선공작 청부업자라 해도 할 말 없는 것 아닌가”라면서 “KBS가 유튜브 가짜뉴스 확성기인가, 유튜브 방송 치어리더인가”라고 날 선 발언을 쏟아냈다. “공영방송 KBS가 사기방송 뉴스타파의 자회사인가”라고 언성을 높이기도 했다. 뉴스타파는 김만배·신학림 허위 인터뷰를 최초로 기사화한 매체다.

이 밖에 여당은 친야 성향 방송인인 주진우씨와 KBS 최경영 기자의 실명을 거론하면서 이들의 방송 진행이 “편파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공영방송임에도 이런 편향성 때문에 국민의 80%가 수신료 분리징수에 찬성하고 57%가 수신료 영구 폐지에 찬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한국방송공사(KBS)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KBS 사장 지명 철회 촉구 피켓 부착으로 인해 감사가 중지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野 “박민 사장 임명제청 무효”

야당은 KBS 이사회가 박민 전 문화일보 논설위원을 차기 사장으로 임명제청 의결한 점을 문제 삼았다. 민주당 허숙정 의원은 “KBS 이사회의 박민 사장 임명 제청의결이 위법 절차에 의한 명백하고 분명한 무효”라고 주장했다. 대통령실을 향해선 “방송 장악을 하려고 이동관 방통위원장을 억지 선임하더니 결국 KBS 사장 선임도 비상식적으로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형배 의원은 KBS 보궐이사로 이동욱 전 월간조선 기자가 임명된 점을 강력 비판했다. 민 의원은 “광주 5월 항쟁을 욕보인 이동욱씨가 KBS 보궐이사로 앉았다. 군부독재 작전하듯 방통위가 밀어붙였다”고 했다. 민 의원은 “(이 이사는) 5·18만 폭동이 아니고 4·19도 폭동이었다고 하는 분”이라며 “KBS 이사로 적절치 않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박찬대 의원은 “대통령 말 한마디에 수신료 분리징수가 졸속으로 이뤄졌다”고 했고, 윤영찬 의원은 김의철 전 KBS 사장 해임 및 신임 사장 후보 임명제청 의결 과정을 거론하며 “이사회 의사결정 과정이 너무나 무원칙하고 절차를 어겼다”고 지적했다.

배민영·최우석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