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네이버, 1억달러 규모 사우디 디지털 트윈 플랫폼 사업 수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네이버는 24일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MOMRAH)로부터 국가 차원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을 맡아, 수도 리야드 등 5개 도시를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사업 수주 규모는 1억달러다. ‘디지털 트윈’이란 실재 사물을 가상세계에 동일하게 3차원 모델로 구현,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한 분석·예측·최적화 등을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술을 뜻한다.

네이버는 5년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를 비롯해 메디나, 제다, 담맘, 메카 5개 도시들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3D 디지털 모델링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하고 운영하게 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를 도시 계획, 모니터링, 홍수 예측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국민들의 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공공 디지털 서비스를 네이버가 첫 단계부터 구축하고, 나아가 서비스까지 직접 운영하게 되는 셈이다.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 및 우리나라 정부와 지속적인 협업 기회 발굴 및 채널 역할을, 네이버랩스는 첨단 기술의 고도화를, 네이버클라우드는 안정적인 클라우드 기술과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등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는 방침이다. 회사 측은 “네이버의 첫 대규모 중동 사업이자,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필수 인프라인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을 한국 IT기업이 도맡게돼 의미가 남다르다”고 했다.

이번 프로젝트 수주과정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MOMRAH)가 진행한 글로벌 유수 기업들 간 기술 비교에서 네이버가 가장 빠르면서도 확장성 높은 디지털 트윈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받았다는 후문이다. 10cm 내외의 오차 범위로 도시 전체를 정밀하게 구현·복제할 수 있는 원천 기술부터 매핑 로봇, 데이터 처리 인프라를 자체 개발한 것이 대표적이다. 여기에 확장성을 갖춘 대규모 실내 공간 매핑 기술과 10년간의 무중단·무사고·무재해 노하우까지 갖춘 안정적인 클라우드 역량도 인정받았다.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 현지와 국내의 관련 기관 및 스타트업들과 협업하며 생태계를 키워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네이버가 구축할 사우디아라비아의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스타트업이나 전문 기관 등도 활용 가능한 오픈 플랫폼이다. 시뮬레이터를 통한 스마트시티 설계, 도시 물 관리, 실감형 부동산, 서비스 로봇, 자율주행 모빌리티, 도로 단위 교통 정보, AI지도 등 다양한 서비스가 탄생할 수 있다. 실제로 네이버와 각각 MOU를 체결한 LX, 한국수자원공사도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에 힘을 보태, 추후 협업 대상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성과는 네이버가 지난해 11월 국토교통부 장관 주관의 ‘원팀코리아’ 일원으로 참여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인연을 맺은 지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만들어 낸 성과이기도 하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 3월 자치행정주택부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 디지털 전환(DX·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이어 10월 압둘라 알스와하(Abdullah Alswaha) 통신정보기술부 장관을 포함해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정부 관계자들이 그동안 총 아홉 차례 이상 네이버 본사인 1784에 직접 방문하며 꾸준한 교류를 이어 왔다.

네이버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사우디아라비아 현지 법인 설립 및 중동 지역 클라우드 리전 구축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네이버의 초대규모AI 및 클라우드를 활용해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의 정책 현안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진행 중인 논의 역시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네이버는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기술 기반의 글로벌 진출도 가속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네이버는 메신저, 커머스, 콘텐츠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를 아시아, 북미, 유럽으로 진출시킨 경험을 갖추고 있다. 중동 지역에서 B2G(기업 정부간 거래)·B2B(기업간거래) IT기술 수출이라는 새로운 글로벌 이정표를 만들어 낸 만큼, 향후 서비스·기술 등 전방위적 글로벌 공세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번 중동 지역으로의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시티 기술 수출이 추후 하이퍼클로바X・소버린AI・소버린클라우드 등으로 확대되면 네이버의 클라우드 사업 역시 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채선주 네이버 대외 ESG정책 대표는 “건설 플랜트 수출로 경제대국 대한민국의 초석을 다진 선배들의 노고와 땀의 가치를 깊이 새기고 있다”면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탄탄한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 2의 중동 수출 붐을 이끌어 보겠다”고 했다. 이어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네이버가 IT 스타트업들의 중동 수출에 대한 다리 역할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안상희 기자(hug@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