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정호 교수팀 연구…"현실적 폭염 위험성 지표로 사용 가능"
서울시 폭염 위험성 지도 제작 프레임 |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인공지능을 이용해 폭염 위험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는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임정호 교수팀이 '폭염의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존 폭염 연구는 위성 기반의 지표면 온도와 거주 인구를 주로 활용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사람들이 체감하는 대기 온도와 실제 인구의 생활 노출 패턴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서울시를 대상으로 '폭염 위험수치 지도'를 제작했다.
이 지도는 서울시의 일일 최고·최저 온도를 인공지능으로 파악해 실시간 생활 인구를 분석한 자료에 적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지도를 폭염 위험성의 현실적인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도는 낮과 밤을 구분해 제작됐다.
낮에는 인구 활동이 밀집된 서울 도심 중심부에서, 밤에는 도시 주변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성이 나타났다.
'낮의 위험성 지도'는 2018년 여름 서울의 온열질환자 분포 자료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기도 했다.
UNIST 임정호 교수팀 |
임정호 교수는 "이번 기술은 열 위험에 대응하는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행동 계획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한파 위험성 평가와 대응의 기초 기술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셀'(Cell)의 자매지인 '아이사이언스'(iScience)에 10월 3일 온라인으로 게재됐으며, 11월호에 출판될 예정이다.
연구는 기상청 폭염 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사업, 환경부 환경보전 디지털 조사 기반 구축 기술개발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yongta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