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6G 주도권 전쟁

'6G 주도권 확보하자'…과기정통부, R&D 추진전략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G 주도권 확보하자'…과기정통부, R&D 추진전략 공개

연합뉴스

6G R&D 추진전략
[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 정부가 향후 6G 기술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R&D)을 집중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6G 글로벌 2023'을 통해 무선통신, 모바일 코어, 6G 유선네트워크, 6G 시스템, 6G 표준화 등 5대 분야를 중심으로 한 '6G R&D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지난 8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총 4천407억원 규모의 이번 R&D 사업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6G 융합서비스까지 연결하는 구간을 6G 시스템으로 유기적으로 연계, 원활한 6G 융합서비스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성능보장 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향후 6G가 상용화하면 도심항공교통(UAM)과 가상현실 등 다양한 6G 융합서비스가 창출될 것으로 과기정통부는 기대했다.

6G 프론트홀에서 전달망까지 이어지는 구간의 초고속·대용량 광전송 시스템과 부품 기술을 개발하고, 6G 유무선 핵심 기술의 개발 성과물을 국제 표준과 연계할 수 있도록 '6G 표준화'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 5G 통신에서 3.5GHz의 용량 한계와 28GHz의 커버리지 한계를 극복하는 '어퍼미드 대역'(7∼24GHz) 기술을 개발하고, 모바일코어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 중심 네트워크 기술도 개발하기로 했다.

2026년에는 이러한 중간 성과물을 주요국 통신사와 제조사, 표준 전문가, 정부 관계자들에게 선보이는 'Pre-6G 기술 시연' 행사를 열고, 사업이 종료되는 오는 2028년에는 국내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협력을 통해 통합시스템 시연을 추진한다.

이번 행사에는 삼성전자[005930], 노키아, 에릭슨, LG전자[066570],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프랑스 전자정보기술연구소 레티(CEA Leti) 등 글로벌 기업·기관들이 6G 기술 동향과 협력 사업을 소개한다.

firstcircl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