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부처 내 성평등 정책 수립···비직제 기구
행안부, 업무 수행 점검···내년 12월까지 운영
2019년 3월8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제 35회 한국여성대회’가 열리고 있다. 이날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故김복동 할머니는 여성운동상을, 서지현 검사는 올해의 여성운동상을 받았다. / 이준헌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 말 폐지될 기로에 놓였던 8개 부처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운영이 1년 연장된 것으로 파악됐다. 윤석열 정부의 성평등 정책 후퇴 기조에 따라 폐지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명맥을 유지하게 된 것이다.
16일 경향신문 취재 결과 행정안전부는 최근 8개 부처에 설치된 양성평등정책담당관의 운영 기간을 1년 더 연장했다. 운영 기한은 2024년 12월이다. 행안부는 8개 부처 양성평등정책담당관의 업무 수행 체계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상설기구로 직제화하기엔 업무 수행 체계가 미흡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제도는 문재인 정부가 내놓은 성평등 정책 중 하나다. 2019년 5월 법무부와 대검찰청을 비롯한 8개 부처에 비직제(임시기구)로 신설됐다. 2018년 1월 서지현 검사의 검찰 내 성추행 폭로로 ‘미투’ 운동이 확산한 게 신설 배경이다. 양성평등정책담당관은 8개 부처 내 성차별·성폭력 방지를 위한 성평등 정책을 수립한다. 성인지 교육을 통한 조직문화 개선, 성폭력 발생 관련 조사·조치도 맡는다.
여성계는 현 정부에서 여성가족부는 물론 관련 부서인 양성평등정책담당관까지 폐지될 수 있다고 우려해왔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노무현 정부가 6개 부처에 둔 여성정책담당관(양성평등정책담당관 전신)을 폐지한 전례도 있었다. 한 정부 관계자는 “현 정부도 이 부서를 쉽게 없앨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며 “그나마 최선의 상황으로 보인다”고 했다.
전윤정 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지난달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제도 강화를 위한 과제’라는 보고서에서 “현재 양성평등정책담당관은 불안정한 제도 운영으로 정부 성평등 정책을 총괄하는 기능과 역할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점차 확대되는 양성평등 정책의 수요와 정부와 민간간 협업의 필요성을 고려해 다른 부처까지 관련 직제를 확대해 운영해야 한다”고 했다.
▶ 독립언론 경향신문을 응원하신다면 KHANUP!
▶ 나만의 뉴스레터 만들어 보고 싶다면 지금이 기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