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법원 "'학폭 의혹' 서예지, 광고주에 배상 책임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계약기간 전 의혹…과거 행위 밝히라는 건 기본권 침해"

더팩트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25부(송승우 부장판사)는 지난 10일 유한건강생활이 서예지와 그 소속사 골드메달리스트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소속사에게 2억2500만원 지급 판결을 내렸다.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김시형 기자] 학교폭력과 연인 가스라이팅 의혹이 불거진 배우 서예지가 광고주에 손해배상 책임을 질 필요는 없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의혹이 사실이더라도 모두 계약기간 전의 일이고, 의혹이 제기된 사실만으로 계약 위반이라고 볼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25부(송승우 부장판사)는 지난 10일 유한건강생활이 서예지와 그 소속사 골드메달리스트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소속사에게 2억2500만원 지급 판결을 내렸다.

앞서 유한건강생활은 지난 2020년 7월 서예지와 건강기능식품 광고모델 계약을 맺고 모델료 4억5000만원을 지급했다. 이듬해 4월께 광고 방영 중 서예지의 학폭 의혹과 연인 가스라이팅 의혹, 스태프 갑질 의혹 등이 제기됐다.

이에 유한건강생활은 계약 위반을 이유로 서예지와 계약을 해지하고 모델료 반환, 위약금과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광고는 같은달 말 중단됐다.

법원은 서예지의 계약 해지에 따른 소속사의 모델료 반환 책임만 인정하고 유한건강생활이 낸 손해배상 및 위약금 청구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의혹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계약기간 전이고, 서예지와 소속사가 계약을 위반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계약서상 품위유지 약정 위반 사례로 학교폭력이 기재돼 있다'는 유한건강생활 측 주장에는 "원고 주장대로라면 계약 체결 과정에서 과거에 있었던 품위유지 의무 위반행위를 밝히도록 강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이는 헌법상 중대한 '기본권 침해'에 해당해 허용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rocker@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