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자율형 사립고와 교육계

자사고 학부모 부담금, 일반고 ‘19배’ 육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학생 1인당 평균 862만원…연 3000만원 넘는 곳도

지난해 자율형사립고(자사고)의 학부모가 자녀 한 명을 학교에 보내며 부담한 금액이 평균 862만원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고 학부모보다 약 19배 많은 금액이다. 1년에 3000만원 넘게 부담해야 하는 자사고도 있었다.

19일 이은주 정의당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받은 ‘2022년 학생 1인당 학부모 부담금’ 자료에 따르면 자사고의 학생 1인당 학부모 부담금은 862만4000원이다. 이는 일반고(46만6000원)의 약 18.5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학부모 부담금은 수업료·입학금·학교운영지원비(등록금)와 수익자부담금(급식비·기숙사비·교과서비 등)을 포함한다. 2021년부터 고교 무상교육이 전면 실시되면서 고등학교에서는 수업료·입학금·등록금·교과서비 네 가지 항목이 면제인데, 수업료와 입학금을 학교장이 정하는 사립학교는 면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학교별로 보면 전국 단위 자사고의 학생 1인당 학부모 부담금은 1223만7000원, 광역 자사고는 746만9000원이었다. 학교알리미 등에 따르면 학부모 부담금이 가장 많은 자사고는 1년에 3063만8000원을 내야 했다. 학부모 부담금이 3000만원이 넘는 고등학교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사고뿐 아니라 외고와 국제고의 학부모들도 매년 일반고의 10배가 넘는 비용을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외고의 학생 1인당 학부모 부담금은 759만8000원, 국제고는 489만9000원으로, 각각 일반고의 16.3배, 10.5배 수준이다. 국제고 중 학부모 부담금이 가장 많은 학교는 1년에 2235만7000원을, 외고 중 부담금이 가장 많은 곳은 1956만9000원을 내야 했다.

이전 정부가 2025년까지 자사고·외고·국제고의 일반고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과 달리 현 정부는 이들 학교를 존치하겠다는 기조다. ‘공교육 내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겠다’는 게 그 이유다. 정부는 오는 22일까지 자사고·외고·국제고를 존치하는 내용의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있다. 법제처 심사와 국무회의 등을 거쳐 시행령 개정이 완료되면 이들 학교는 2025학년도 이후에도 유지된다.

김나연 기자 nyc@kyunghyang.com

▶ 독립언론 경향신문을 응원하신다면 KHANUP!
▶ 나만의 뉴스레터 만들어 보고 싶다면 지금이 기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