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이슈 럼피스킨병 확산

럼피스킨 발생 한 달, 전북 최대 소 사육지 정읍 발생건수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럼피스킨이 발생한지 한 달이 경과된 현재 전국에서 100여건이 넘는 감염사례가 발생했지만 전북 최대 소 사육지인 정읍시는 철저한 방역으로 감염 수 ‘0’을 유지하고 있다.(정읍시 제공)2023.11.22/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창=뉴스1) 박제철 기자 = 럼피스킨이 발생한 지 한 달이 경과된 현재 전국에서 100여건이 넘는 감염사례가 발생했지만 전북 최대 소 사육지인 정읍시는 철저한 방역으로 감염 수 ‘0’을 유지하고 있다.

22일 정읍시에 따르면 지난 10월19일 충남 서산시에서 럼피스킨이 발생한 후 전국 34시·군 농가에서 107건이 발생했다. 전북에서도 총 14건(고창 12건, 부안 1건, 임실 1건)이 발생했다.

지난 21일 칠보면 소재 한 한우농가(60두)에서 발견된 럼피스킨 의심축이 농림축산검역본부 정밀검사 결과 최종 음성으로 판정돼 현재까지 정읍에서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고 있다.

특히 정읍은 도내 14개 시·군 중 가장 많은 소 사육 규모를 가지고 있어 긴장감이 더욱 컸다. 사육 규모는 한·육우 9만9189마리, 젖소 5903마리 등 모두 10만5092마리에 달한다. 전북 전체 49만5518마리의 21.2%에 해당하는 규모다.

정읍시는 럼피스킨 초기에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1700여 축산농가와 합심해 초동 차단방역조치에 총력을 다했다. 또 축산농가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백신접종을 신속하게 완료해 1차 긴급백신 접종 소들은 현재 집단면역에 들어간 상태다.

이러한 노력으로 22일까지 정읍에는 단 한 건의 감염사례가 나오지 않았다. 시는 럼피
스킨 사태가 완전히 종결될 때까지 방역 태세를 유지하는 등 방심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파리, 모기 등 흡혈곤충이 사라지는 11월 말까지 연무소독차량 8대를 동원해 소독을 지속한다. 이와 함께 광역방제기 2대, 소독차량 7대로 소 사육농가를 순회하며 소독을 실시하고, 추가로 유충구제체, 생석회, 구연산계 등 소독약품을 축산농가에 공급한다.

시 방역관계자는 “백신을 접종한 소에는 럼피스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면역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당연한 반응” 이라며 “일주일 정도 경과하면 증상이 사라지므로 증상이 심할 경우에만 공수의 처방을 받아 치료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학수 시장은 “이번 럼피스킨 사태에 전 축산농가가 한 몸으로 뭉쳐 적극 대응해 지금까지 감염사례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며 “아직 사태가 종료된 것이 아닌 만큼 심각단계가 해제될 때까지 경각심을 갖고 축사 내 소독과 구충을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jcpar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