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카카오 폭로전…내홍 수습 나선 홍은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정호 총괄 SNS 카카오 내부 의혹 폭로

경영진 "사실 아냐" 반박

노조 "자정능력 상실, 경영진 쇄신해야"

아시아경제

경기 성남 카카오 판교아지트.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가 김정호 CA협의체 경영지원총괄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내부 폭로전’으로 내홍을 겪고 있다. 이에 노동조합은 카카오가 자정능력을 상실했다며, 경영진 비위 의혹을 외부에 맡겨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내홍이 깊어지자 흥은택 카카오 대표가 처음으로 입을 열고 사태 수습에 나섰다.

홍은택 대표는 11월 30일 임직원 대상 공지를 통해 "안산 데이터센터와 서울 아레나, 제주 ESG 센터 등의 건설과정 그리고 김정호 총괄이 제기한 다른 의혹에 대해서도 공동체 준법경영실과 법무법인을 중심으로 조사단을 꾸려서 감사에 착수했다"라고 밝혔다. 김 총괄이 11월 28일부터 이틀간 5개의 페이스북 게시글을 통해 내부 문제점을 비판한 것에 대한 회사 차원의 첫 공식 입장이다.

홍 대표는 김 총괄이 제기한 고가의 법인 골프장 회원권 문제에 대해서는 "이미 매각 절차에 들어갔다"라며 "환수한 자금은 휴양시설 확충 등 크루들의 복지를 늘리는 데 사용할 계획이며 대외협력비는 개선안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그는 김 총괄의 욕설 논란에 대해서도 외부 조사를 의뢰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홍 대표는 "윤리위원회 규정상 공개적으로 밝히기는 어렵지만 사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공정성과 객관성을 위해 외부 법무법인에 조사 의뢰할 것을 윤리위원회에서 건의해 와서 수용하기로 했다"라며 ”최종판단은 윤리위에서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주시기 당부드리며 그동안 감사나 조사결과를 예단해서 얘기하는 일은 없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이는 김 총괄의 SNS 폭로전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아시아경제

홍은택 카카오 대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내부 감사 업무를 맡고 있는 김 총괄은 지난 22일 업무보고를 받는 과정에서 욕설과 폭언을 한 사실이 드러나며 논란이 됐다. 그러자 그는 자신의 SNS에 제주도 유휴 부지 공사 업체 선정을 두고 한 임원이 결재나 합의 없이 업체를 바꾸겠다는 사실에 분노해 문제의 욕설을 했다는 내용의 글을 올려 해명했다. 이 밖에도 법인 골프회원권, IDC·공연장 비리 등 내부 문제를 공개해 카카오는 발칵 뒤집혔다.

김 총괄은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카카오 쇄신을 위해 지난 9월 공을 들여 영입한 인물이자 외부 준법 감시기구인 ‘준법과 신뢰위원회’의 유일한 사내 인사다.

그러나 카카오 경영진들은 김 총괄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며 정면 반박에 나섰다. 전날 카카오 부동산 개발을 총괄하는 자산개발실 소속 오모 부사장과 직원 11명은 카카오 내부 전산망에 장문의 공동 입장문을 올리고 제주도 JDC 내 카카오 본사 유휴 부지 개발 과정에 대해 “배재현 투자총괄대표 등 경영진 결재를 모두 거쳐 진행한 사안”이라고 반박했다.

김 총괄의 SNS 폭로전이 경영진 간 진흙탕 싸움으로 비화되자, 카카오 노조도 가세했다. 경영진의 특혜와 비위행위를 독립기구인 준법신뢰위에 조사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직원들에게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는 29일 임직원 대상 공지를 통해 “더 이상 내부 경영진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기에 경영진에 대한 인적쇄신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속적으로 경영쇄신위원회에 경영진 외에 직원들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요구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 크루들에게 회의 내용이나 아젠다를 이야기한 적이 한 번도 없다. 더 이상 폐쇄적으로 경영쇄신위원회를 운영해서는 안 된다"며 경영쇄신위원회에 직원 참여도 요구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