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이슈 G7 정상회담

“韓, G7 편입하고 美기업 아태본부로”..한미 경제포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외교부·美국무부 주최 민관합동 포럼
美상공회의소·한미경제硏·EY한영서 韓역할론
"한미FTA, 이 시대 마지막 위대한 무역협정"
"IPEF·WTO는 한계..한·호 G7 참여해 G9 확대해야"
외교장관도 전날 "G7, 한·호 참여 필요로 해"
"中공장 옮길 순 없지만, 아태본부 둬 투자 유치"


파이낸셜뉴스

7일 외교부와 미국 국무부 공동주최로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린 한미 민관합동 경제포럼에서 찰스 프리먼 미 상공회의소 아시아 총괄 선임부회장(오른쪽)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정철 부원장과 강구상 미주팀장, 로버트 스미스 EY한영 선임고문. /사진=김윤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미국 경제계가 우리나라의 다자무역 진흥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를 내놨다.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7일 열린 한미 민관합동 경제포럼에서다. 한국을 주요 7개국(G7)의 일원으로 호주와 들이고, 미국 기업들의 아시아태평양 지역본부가 한국에 즐비토록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날 그랜드 하얏트 서울 호텔에서 열린 포럼은 우리 외교부와 미 국무부가 공동주최 했다. 양국 정부 관계자뿐 아니라 경제계 인사들도 토론에 참여했다.

미 경제계 인사들은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로 실질적인 무역협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미 주도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조차도 FTA와 같은 무역협정이 아니라며 큰 기대를 내비치진 않았다. 그러면서 한국이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다자무역 활성화를 위한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찰스 프리먼 미 상공회의소 아시아 총괄 선임부회장은 “한미FTA 이후 물론 한국이 수입하는 게 더 많지만 그것의 대부분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간재로, 공급망 안정 면에서 모범적인 사례”라며 “미 주도로 IPEF를 하긴 하지만 (FTA 같은) 무역협정은 아니다. (메가FTA 개념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를 추진하다 2017년에 포기한 뒤 방황했던 교역에 대해 자세를 잡는 정도”라고 짚었다.

프리먼 부회장은 그러면서 일본을 위시한 다른 나라들도 한미FTA 같은 모범적인 무역협정에 참여해야 공급망 안정 등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에 더해 마크 토콜라 한미경제연구소 부소장은 “IPEF는 무역협정이 아닌 협력을 위한 포럼이고, 한미FTA는 우리 시대의 마지막 위대한 무역협정일 수도 있다”며 “한미 양자로는 충분치 않고 경제안보를 추구하는 다자 협의가 필요한데 세계무역기구(WTO)는 전망이 비관적이다. 그래서 G7에 한국과 호주를 포함시켜 G9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G7 편입은 박진 외교부 장관도 우회적으로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박 장관은 전날 싱크탱크 니어재단과 한국국제교류재단 주최 컨퍼런스에서 “윤석열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G7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세계 8강 수준 위상과 국력을 가진 국가로서 국제적인 역할과 책임을 확대해왔다”며 “G7은 충실한 민주주의와 선진 경제를 달성한 한국과 호주 같은 나라들의 지원과 참여를 필요로 하고 있다”면서 민주주의 진영과 중국·러시아 등 권위주의 진영 사이에서의 한국의 가교 역할론을 폈다.

또한 한국이 미국의 다국적 기업들의 아태 지역본부가 모이는 곳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글로벌 회계법인 EY한영의 로버스 스미스 선임고문은 “암참(AMCHAM·주한 미 상공회의소)에서 많이 이야기하는 게 미국 기업의 대(對)한국 투자를 이끌 방법인데, 미중 디커플링이라도 중국에 있는 공장을 들어다 한국에 옮길 수는 없다”며 “대신 아태 지역 전략본부를 한국에 둬 다국적 기업의 임원들이 근무케 한다면 아태지역 비즈니스 의사결정이 한국에서 이뤄지며 연구·개발(R&D) 등 추가투자도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한국이 아태 지역본부를 둘 수 있도록 하는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면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