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아빠, 이상한 영상 그만 보세요…40대부터 가짜뉴스에 점점 취약해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디어 비판적 이해능력
세대별로 차이 나타나
학력·소득 수준과도 연관


매일경제

가짜뉴스 [사진 = 연합뉴스]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역량인 ‘미디어 리터러시’가 가장 뛰어난 세대는 30대이고, 40대부터는 고연령층일수록 비판적 이해 능력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학력이 높을수록 미디어 리터러시가 높았고,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지방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 남녀 간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남성이 여성보다 소폭 높았다.

1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고흥석 군산대 미디어문화학과 교수 연구진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지역 격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한국미디어패널의 조사 데이터 가운데 만 19세 이상 응답자 9057명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다.

미디어 리터러시란 미디어(Media·매체)와 리터러시(Literacy·문자를 쓰고 읽는 능력)를 합친 단어로, 미디어를 이해하고 매체가 전달하는 내용을 분석해 평가하는 능력을 뜻한다.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읽고 해독하며,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포함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역량은 30대가 5점 만점에 3.23점으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3.21점으로 2위에 올랐다. 이어 40대(3.10점), 50대(3.00점), 60대(2.68점) 순으로 조사됐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교육 수준(최종학력 기준)이 높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대학원 재학 이상이 3.47점, 대졸 이상이 3.18점, 고졸 이상이 2.83점, 중졸이 2.21점, 초졸이 1.83점을 기록했다. 소득에 따라서는 월평균 개인 소득 400만원 이상 집단이 3.27점으로 가장 높았고, 월 100만∼200만원(2.13점)으로 100만원 미만(2.69점)이나 소득이 없는 집단(2.73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3.07로 가장 높았고 경기(2.94점), 광역·특별자치시(2.90점), 그 외 지역(2.53점) 순으로 조사됐다. 남녀 성별로 비교하면 남성(2.91점)이 여성(2.74점)보다 소폭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앞서 비교한 교육 수준이나 소득 수준과 연관이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성별이나 연령에 따른 비판적 이해 역량의 차이는 서울, 경기 이외 지역에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는 ‘내가 접한 정보가 사실인지 아닌지 살펴본다’ ‘내가 접한 정보가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내가 접한 정보가 상업적 의도를 담고 있는지 판단해본다’ ‘내가 접한 정보가 정치적 의도를 담고 있는지 판단해본다’ ‘내가 접한 정보와 관련하여 다양한 입장들을 알아보기 위해 추가정보를 찾아본다’ 등 5개 문항에 대해 응답자가 1~5점 척도로 답변하는 방식으로 평가됐다.

미디어 리터러시

기술 진화를 악용한 가짜뉴스의 심각성이 커지면서 이를 판별할 능력을 키우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매일경제는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콘텐츠를 집중 보도하며 언론사로서 가짜뉴스 퇴치에 앞장서나갈 계획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