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포스트 김기현’ 인요한·원희룡·한동훈 삼각편대론 부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與, 총선 치를 여러 대안들 나와

조선일보

왼쪽부터 임요한, 원희룡, 한동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3일 사퇴하면서 당내에서는 ‘포스트 김기현’ 체제에 대한 여러 가지 대안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당헌에 따르면 김 대표 사퇴 시 윤재옥 원내대표가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명할 수 있게 된다. 김 대표도 사퇴의 글에서 “윤재옥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당을 빠르게 안정시켜야 한다”고 했다. 여권 내에선 권한대행 체제는 일주일을 넘기지 않고 빨리 비대위로 넘어가는 방향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 관계자는 “이번 주에 당을 정리해서 다음 주에는 새로운 지도 체제로 최대한 빨리 당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했다.

임시 지도부인 비대위 중심으로 갈지 선거용 체제인 선대위로 조기 전환할지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고 한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원희룡·한동훈·인요한’ 삼각 편대 구상이 거론된다. 인 혁신위원장이 비대위원장을 맡고 원·한 두 장관이 선대위원장을 맡는 등의 방안도 나온다. 당 핵심 관계자는 “세 사람이 어떤 역할을 맡을지는 정해지지 않았다”면서도 “국민 여론은 기존의 국민의힘 지도부로는 총선을 치르기 힘드니 당 간판을 바꾸라는 것”이라고 했다. 당내 경제통인 윤희숙 전 의원에게도 비중 있는 역할을 맡기는 방안이 거론된다. 일각에서는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나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설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당사자들은 “그럴 사정이 안 된다”며 부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요한 위원장에 대해 여당 관계자는 “주로 비정치권 외부 인사들로 꾸려졌던 혁신위와 달리 당의 보좌 인력이 뒷받침된다면 인 교수도 훌륭한 당의 자산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인요한 혁신위’가 국민적 호응도 얻었던 만큼 충분히 중책을 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 등 내각 인사는 후임 장관 임명 문제가 남아 있지만 그전에라도 미리 차출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당 관계자는 “최근 개각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한 장관은 후임자 발표도 되지 않은 상황이라 바로 투입되기 어려운 면이 있다”면서도 “후임을 빨리 정하고, 차관 대행 체제로 법무부를 운영하면 조기 투입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고 했다.

안철수 의원도 이날 CBS라디오에 나와 중도층에 소구력이 있다는 이유로 ‘인요한 비대위원장’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안 의원은 “(인 교수와 원·한 장관이) 공동으로 (비대위원장을) 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라며 “스펙트럼을 넓혀서 보수뿐만 아니라 중도와 합리적인 진보까지도 아우를 수 있는 정도의 팀으로 총선을 치러야 한다”고 했다. 안 의원은 ‘인·한 공동위원장’ ‘인·원 공동위원장’ 등에 대해 “어떤 조합도 상관없다”고 했다.

당헌상 사퇴한 당대표의 잔여 임기가 6개월 이상일 경우 전당대회를 실시해 새 당대표를 선출할 수도 있다. 김 대표는 지난 3월 취임했다. 하지만 4월 총선을 넉 달도 남겨 놓지 않은 시점에서 새 당대표를 선출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윤재옥 원내대표가 최장 60일간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곧 출범할 공천관리위원회와 선거대책위원회 등 총선 체제로 자연스럽게 전환하는 방법도 있다. 당의 잡음을 최소화하는 방안이지만 총선을 앞두고 대중성이 떨어지고 혁신 의지가 없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

조선일보

그래픽=김하경


[박국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