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결혼 좀 해라” “집값 내주면 할게요”…빚은 눈덩이, 반지하 전전하는 20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전월세 보증금 폭증 감당못해
20대 빚 5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어
반지하·옥상 거주비율도 가장 많아
“결혼 자금 없어 혼자살기 선택해”


매일경제

[사진 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 20~30대 청년층의 생활이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가 심각한 상황에 놓였다. 20대 이하의 소득은 줄고 빚은 눈덩이 처럼 불어나고 있다. 빚에 허덕이는 수도권 청년들은 더 싼 집을 찾아 지하, 반지하, 옥상으로 내몰리는 상황이다.

15일 통계청 통계개발원과 서울대 한국사회과학자료원이 펴낸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2018년)과 이후(2022년)를 비교할 때 20대 이하의 부채 증가가 다른 연령계층에 비해 두드러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2022년 전체 가구 중 부채 보유 가구 비율은 64% 내외로 큰 변화 없이 약간 감소했다. 하지만 20대 이하는 2018년 부채 보유 가구 비율이 50.8%로 절반 정도 수준이었다가 2022년에는 60.4%로 9.6%포인트 증가했다.

매일경제

연령집단별 부채비율 증감. 자료=국세청


특히, 2018~2022년 전체 가계 신용은 19.6% 증가했지만 20대 이하는 무려 2배에 가까운 93.5% 증가했고, 30대는 평균의 2배인 39.8% 증가해 다른 연령대의 증가세를 압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이하 청년의 부채가 크게 늘어난 건 전월세 보증금이 많이 오른 탓이다. 실제로 20대 이하의 금융자산 중 전월세 보증금 비중은 2022년 70.1%로 2018년 대비 13.7%포인트 상승했다.

이번 통계를 연구한 유경원 상명대 교수는 “청년세대의 경우 부채 증가에는 못 미치지만 자산 증가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다”며 “주로 금융자산 증가, 특히 전월세 보증금 증가가 두드러져 이들 세대의 부채가 보증금 증가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불석했다.

매일경제

2018년 대비 2021년 소득 증감률. 자료=통계청


20대 이하의 빚은 코로나19를 지나며 눈덩이처럼 불어났지만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가구소득은 2018년 4567만원에서 2021년 5022만원으로 10% 증가했다. 하지만 20대 이하의 소득은 3363만원에서 3114만원으로 7.4% 감소했다.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20대 이하 가구주의 소득만 줄었다.

20대이하의 소득은 줄었지만 60대 이상 가구소득은 같은기간 22.5% 증가해 2018년 2604만원에서 2021년 3189만원이 됐다. 20대 이하 가구소득을 추월했다. 고령층에 대한 연금지급액 증가 등 공적 이전지출 확대가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청년세대의 곤궁한 삶은 서울·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독거가구의 반지하·지하·옥상 거주비율이 3.24%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청년부부가구, 청년·자녀가구, 미혼으로 부모와 함께 사는 가구 등 다양한 청년 가구 중 혼자 사는 수도권 청년의 반지하·지하·옥상 거주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돈벌이는 마땅치 않고 빚은 늘어나고 주거도 취약한 상황에 놓인 20~30대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도 나빠지고 있다. 20대 남·녀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2018년 대비 2022년에 각각 30%포인트, 25.4%포인트 감소했다.

신윤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결혼 적령기에 해당하는 청년들은 중장년층보다 결혼 자금 등 경제적인 이유를 지적하는 비중이 높았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