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한동훈 옹립' 띄운 친윤 … 그러다 100석 깨진다는 비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윤재옥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이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서 단상을 향해 걸어가고 있다. 이날 국민의힘 의원들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할 경우 위원장에 누가 적임인지를 놓고 난상토론을 벌였으나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한주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15일 비상의원총회를 열고 김기현 전 대표 사퇴 이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누가 적임인지를 놓고 격론을 벌였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공개 지지한 친윤계와 이에 반대하는 비윤계 간 치열한 신경전도 벌어졌다. 대안으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을 추천하는 의견도 나왔다.

이날 의총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은 오전 10시부터 100분에 걸쳐 난상토론을 벌였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처음 발언에 나선 친윤계 김성원 의원과 뒤이어 올라온 지성호 의원이 한 장관을 지지하며 운을 띄웠다. 김 의원은 "현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건 한 장관뿐"이라며 "삼고초려를 해서라도 모셔와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자 비윤계 김웅 의원이 나서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 딸 김주애를 차기 영도자로 추대하는 것 같다"며 "그렇게 하면 총선 때 100석도 못 얻는다. 윤석열 대통령도 탄핵될 수 있다"며 반대했다. 김 의원의 탄핵 발언에 윤 대통령의 '복심' 이용 의원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고, 잠시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하태경 의원은 의총장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 장관에 대한) 찬반이 비슷비슷했다"고 전했다.

반면 4선 중진 김학용 의원 등은 "비대위원장은 정치 경험이 있는 사람이 하는 게 좋다"며 원희룡 장관 지지 의사를 밝혔다. 이날 발언에 나선 사람들 가운데 한 장관을 추천한 의원이 40~50%, 원 장관을 지지한 의원이 10~20% 정도였다고 한다. 원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한 후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원장으로 거론되는 데 대해 "저를 희생하는 역할까지 포함해서 무엇이든지 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그 자세를 가지고 어떤 일을 하든지 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제안을 받았는지, 또는 역으로 제안을 던졌는지에 대해서는 "그런 건 없었다"고 했다.

이용호 의원 등 한두 명이 윤 대통령의 멘토로 알려진 김한길 위원장을 넌지시 얘기하기도 했으나 정식으로 언급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라디오에 출연해 "김한길 위원장이 되면 왠지 당이 터질 것 같다"며 "김 위원장이 전략적으로는 탁월한 식견을 갖춘 원로 정치인일지는 모르나, 보수정당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평가절하했다. 이태규 의원은 "원맨을 데려올 게 아니라 어벤저스 체제로 가야 한다"며 안철수·유승민·이준석·홍준표 등 지난 대선 때의 '연합 전선'을 복구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윤재옥 당대표 권한대행은 의총 종료 후 "국민 눈높이에 맞고, 공감할 수 있고, 선거를 앞두고 있는 중요한 시점에서 총선 승리를 위해 우리 당을 이끌 수 있는 능력과 실력을 갖춘 분이란 기준에 대부분 공감해주셨다"고 밝혔다. 안철수 의원도 "어느 정도 정치 경험이 있는 분, 독자적인 정당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분, 외연을 확장할 수 있는 분 정도가 의원들의 공통적 의견이었다"고 전했다.

이날 의총에서는 이 밖에도 당정 관계 재정립의 필요성, 그리고 수도권·중도로의 외연 확장과 관련된 발언도 여럿 나왔다. 홍문표 의원은 당정관계에 대한 질문을 받고 "수평관계로 가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안 의원도 당정관계 재정립 필요성에 대해 "항상 했던 이야기"라고 거들었다.

국민의힘은 다음주 의총을 한 차례 더 열어 다시 한번 총의를 모으기로 했다. 윤 권한대행은 의원들에게 텔레그램 단톡방에 추가 의견을 개진해달라는 부탁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홍준표 대구시장은 같은 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경륜 있고 큰 선거 경험 있는 분을 삼고초려로 모셔와도 될까 말까 한 절박한 시점인데 아직도 '틀튜브(틀니·유튜브의 합성어로 극우 유튜브 채널을 조롱하는 표현)' 보고 갈팡질팡하느냐"며 비판했다.

[안정훈 기자 / 신유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