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AA2023]"생성형 AI, 가장 중대한 기술적 전환…조직에 꼭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 AI 어워드' 시상식

수상기업 대표 발표 세션

AI 활용 중요성 입모아 강조

아시아경제

2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3 아시아AI대상 시상식' 에서 이세영 뤼튼 대표가 '2024년 생성AI 생태계 전망'에 대해 참여기업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뤼튼 서비스의 전면 무료화를 선언합니다. 오늘부로 유료 전환 걱정 없이 모든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

"AI가 ‘재미있는 장난감’을 넘어 도움이 되는 서비스가 되려면 우선 해결하려는 문제를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그래야 필요한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임정근 BHSN 대표)

"생성형 AI는 역사상 가장 중대한 기술적 전환 중 하나입니다. 조직은 생성형 AI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범진 파이온코퍼레이션 대표)
아시아경제

2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3 아시아AI대상 시상식' 에서 임정근 BHSN 대표가 'AI 재미있는 장난감으로 전략하지 않으려면' 이란 주제로 참여기업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일 열린 ‘2023 아시아 AI 어워드’ 시상식 이후에는 수상기업이 자사 기술과 서비스를 소개하고 업계를 조망하는 발표 세션이 이어졌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내년에 펼쳐질 생성형 AI 시장 전망과 사업 계획을 전했고, 임정근 BHSN 대표는 AI 본연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범진 파이온코퍼레이션 대표는 광고 마케팅 시장에 AI 기술이 접목돼야 하는 이유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첫 발표자로 나선 이 대표는 "역사적으로 플랫폼 사업에 성공한 기업이 사용자 생태계를 이끌어나간다고 봤다"면서 "오늘부로 뤼튼 플랫폼 서비스의 전면 무료화를 통해 유료 전환 걱정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글쓰기, 챗봇 대화, 이미지 분석 등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AI 대중화를 이끌겠다는 복안이다.

임 대표는 "챗GPT 등장 이후 비용 문제 등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며 "거대언어모델(LLM)을 구체적으로 서비스화하는 과정에서 양질의 데이터 확보 및 학습이 필수"라고 말했다. 이어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선 정확한 문제, 즉 AI의 역할 파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3년 차 스타트업 BHSN은 AI 리걸 솔루션을 자체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계약서 작성·검토, 기업 송무, 리스크 등을 통합 관리하는 AI 법무 솔루션이다. 그는 "법률 부문은 문서가 구조화돼있어 AI 학습에 유리하고 AI를 적용하기 좋은 분야"라며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가 대부분이라 학습 효율도 높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경제

2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3 아시아AI대상 시상식' 에서 정범진 파이온코퍼레이션 대표가 '네이버, 로레알, 현대차, 롯데는 왜 AI 마케팅 SaaS를 도입했나' 라는 주제로 참여기업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 대표는 "생성형 AI는 역사상 가장 중대한 기술적 전환 중 하나"라며 "조직은 생성형 애플리케이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마케팅 부문에서 생성형 AI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노동 중심의 마케팅 소재 제작을 자동화하고, 디지털 자산의 일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파이온코퍼레이션은 브이캣AI 솔루션을 통해 다수 생성 AI 모델을 마케팅에 최적화된 형태로 탑재해 광고 소재 제작부터 운영까지 마케팅 전 영역을 자동화하고 있다.

브이켓은 광고물 제작에 혁신을 가져왔다. 디자이너 30명이 달라붙어서 월 3000개 배너 이미지를 생성하던데 그치던 것 AI를 써서 월 5000개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게 됐다. 세계 최대 IT 가전 전시회 CES 2024에서 AI 부문 혁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