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내년 집값 서울만 1% 오를것…전국 1.5% 하락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 2024년 시장 전망
“입주물량 부족에 전셋값 2.7% 상승”


매일경제

서울시 내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년에도 전국 주택 가격이 내림세를 보이며 연간 1.5%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다만 내년 하반기에는 인기 지역부터 상승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커 서울은 집값이 연간 1% 오를 것으로 예측됐다.

22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24 주택시장 전망과 정책 방향 간담회’를 개최해 이같이 밝혔다. 주산연은 높은 금리와 부동산 금융(PF·프로젝트파이낸싱) 자금 조달 어려움 등으로 인해 내년에도 집값 내림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전국 주택 가격은 1.5%, 수도권은 0.3%, 지방은 3% 각각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매일경제

2024 주택 매매가격 전망 [사진출처=주산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다. 내년 상반기 중에 미국발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국내 대출금리도 하향 조정될 것이라고 했다. 또 내년 말까지 공급 부족이 누적돼 내년 중반기부터는 수도권 인기 지역부터 보합세나 강보합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주거 수요가 높은 서울은 주택가격이 연간 1% 오를 것으로 봤다.

주산연은 “최근 3년간 누적된 공급부족이 75만가구 수준”이라며 “내후년부터 주택시장 과열이 반복될 수도 있어 수급 균형을 위한 공급 적정화에 정책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산연에 따르면 올해 인허가 물량은 33만4000가구로 전년도 52만2000가구보다 급감했다. 같은 기간 착공 물량도 38만3000가구에서 16만4000가구로 줄었다. 내년에도 인허가가 30만가구, 착공은 25만가구 안팎으로 평년과 대비해 많지 않을 전망이다.

매일경제

2024 주택 전세가격 전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년 전셋값은 전국 기준 올해보다 2.7%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수도권(5%)과 서울(4%), 지방(0.7%)이 모두 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주택 매매 거래가 감소세인 동시에 내년 아파트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점을 고려하면 전반적인 공급 부족이 전셋값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2018~2022년 연평균 입주 물량은 37만4000가구 수준이지만 내년 입주 예정 물량이 32만8000가구에 그치기 때문이다.

주산연은 공급 급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허가 통합 심의 의무화, 기한 내 인허가 처리, 과다한 기부채납 요구 금지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규제 지역, 의무 거주 등 주택 규제를 완화하고 청약·세제 제도를 단순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종대 주산연 대표는 이날 “공급을 제약하는 요인인 규제 지역을 전면 해지해야 한다”며 “분양받은 아파트에 대한 의무 거주 기간도 해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