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경기지역 10년간 말라리아환자 5204명…6~8월 집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소속 연구원이 모기를 분류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내 말라리아 환자는 지난 10년간 5200여명 발생한 가운데 전체 환자의 62%가 6월부터 8월 사이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말라리아 재퇴치 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사업 결과를 담은 10개년 말라리아 매개모기 감시사업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2022년 경기도 말라리아 환자는 5204명으로 2016년이 673명으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유행 시기인 2021년이 294명으로 가장 적었다. 월별로는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3252명의 환자가 발생해 전체의 62.5%를 차지했다. 발생 흐름으로는 매년 4월 1~2주에 최초 확인 후 6~8월을 거쳐 9월 이후 급격히 감소했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질병관리청과 함께 말라리아 매개모기 감시 사업을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파주, 김포, 고양, 동두천, 의정부, 포천, 연천 등 경기북부 7개 시군에서 진행하고 있다.

주 단위로 모기 채집을 수행하고, 매개모기인 얼룩날개모기류의 발생 양상과 원충 보유를 확인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말라리아 재퇴치에 기여하고 있다.

감시사업 결과 지역별 매개모기 개체 수는 파주시 조산리가 연평균 5279마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연천군 삼곶리 2천122마리, 파주시 백연리 1124마리 등의 순이었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2024년부터 말라리아 재퇴치 2기가 시작되는 만큼 이번 보고서 발간을 통해 국내 및 경기도 내 말라리아 재퇴치 실현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해당 보고서는 관련기관에 배포하고 연구원 누리집에도 게시된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