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통제 불가능” 정부도 당황…이민자 대환영했다가 난리난 캐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구 3%대 급격한 증가 영향
집값도 덩달아 가파르게 상승
상반기 유학생 제한 ‘만지작’


매일경제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과학 교육 행사에 참가한 학생들 <사진=신화 연합뉴스>


캐나다에서 주거비용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해 온 이민정책에 제동이 걸리는 모양새다.

14일(현지시간) CTV에 따르면 마크 밀러 캐나다 이민부 장관은 올 상반기 유학생 수에 제한을 두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캐나다에서는 최근 집값과 모기지 금리가 동반 급등하면서 주거비용이 크게 치솟은 바 있다.

캐나다 중앙은행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982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모기지 대출 금리, 난방비 등 주거비용이 소득 대비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한다.

인플레이션으로 건설 경기가 둔화된 가운데, 이민자와 유학생이 급격히 늘면서 집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캐나다 정부는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이민 정책을 시행해왔다.

캐나다는 올해 48만5000명, 그리고 2025년과 2026년에는 각각 50만 명의 새로운 이민자를 유치할 예정이다.

캐나다 내 유학생 수도 2012년 27만5000명에서 2022년 80만명으로 급증했다.

인구 증가세도 가파르다. 캐나다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캐나다 인구는 전년 대비 3.2% 급증했다. 캐나다 인구가 3%대의 급격한 증가세를 보인 것은 1950년대 이후 처음이다.

밀러 장관은 CTV와의 인터뷰에서 “당황스러운 수치다. 시스템이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며 유학생 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