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작년 11월 통화량 6개월째 증가…증시 반등·정기예적금 유입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1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직원이 5만원권을 정리하고 있다. 2023.2.1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기준 시중에 풀린 돈이 전월 대비 약 35조원 늘었다. 6개월 연속 증가세다. 증시 반등으로 주식형 펀드 등 수익 증권에 시중 자금이 유입된 데다 수신금리 상승에 따라 정기예적금으로 가계 자금도 쏠리면서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23년 11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M2(광의통화·평잔)는 3894조9000억원으로 전월(3859조6000억원)보다 35조3000억원(0.9%) 증가했다. 2022년 11월(0.9%)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M2는 지난해 3월 0.2% 줄어든 이후 5월까지 1999년 이후 24년 만에 처음으로 3개월 연속 하락세였다. 이후 6월(0.3%)부터 7월(0.7%), 8월(0.2%), 9월(0.5%), 10월(0.3%) 등 오름세를 보였다.

M2는 전년동월 대비로는 2.3% 늘었다. 전월 증가폭(2.3%)과 같다. M2의 전년동월 대비 증감률은 2021년 12월(13.2%) 이후 17개월 연속 둔화했다가 지난해 6월부터 상승세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환매조건부채권(RP) 등 금융상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다. 통상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지표다.

금융상품별로 보면 수익증권(8조8000억원), MMF(7조원), 정기예적금(6조1000억원) 등 금전신탁(-2조7000억원)을 제외한 모든 부문이 증가했다.

경제 주체별로는 기타금융기관(16조8000억원)과 가계 및 비영리단체(11조6000억원) 및 기업(4조5000억원)이 증가한 반면 기타부문(-7000억원)은 소폭 감소했다.

한은은 "주식시장의 거래 대금이 전월에 비해 늘며 주식형 펀드 등 수익증권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금리 변동성 확대에 따른 자금의 단기운용 유인에 따라 MMF가 늘었다"고 말했다. 이어 "정기예적금은 11월 중 예금금리 상승과 법인자금 유치 노력으로 정기예적금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단기자금 지표인 M1은 전월 대비 4조3000억원 늘어난 1201조7000억원으로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전년동월 대비로는 4.9% 감소해 15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금융기관 유동성은 전월보다 47조7000억원(0.9%) 증가했고 광의유동성은 전월보다 79조5000억원(1.2%) 늘었다.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