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집값 더 내릴까"…주택가격전망 넉달째 '하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금리 인상 종료 기대…소비자심리지수 1.9p↑

대출 규제 강화·PF부실우려에…주택가격전망 1p↓

금리수준 전망 8p↓…37개월만에 100 하회

뉴시스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정부가 준공 30년이 넘은 단지는 안전진단 없이도 재건축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정비사업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사진은 10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재건축 진행 아파트 단지. 2024.01.10. kgb@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소비자들의 경제 인식과 심리를 나타내는 소비 심리가 2개월 연속 개선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종료 기대와 수출 개선, 물가 상승률 둔화 지속 등의 영향이다.

금리 전망이 37개월 만에 하락 예상이 많아졌지만, 여전한 고금리와 대출 규제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까지 겹치며 주택가격전망은 4개월 연속 떨어졌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소비심리지수(CCSI)는 101.6을 기록해 전월 대비 1.9포인트 올랐다. 2개월 연속 상승으로 소비심리지수가 100선 위로 올라온 것은 지난해 8월(103.3) 이후 5개월 만이다.

물가 상승률 둔화세와 미국의 금리 인상 종료, 수출 개선 등의 영향이다. 소비심리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장기 평균보다 경기가 좋아질 것이란 시각이,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시각이 우세하다고 해석된다.

CCSI는 지난해 3월(92.0)부터 7월(103.2)까지 5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다가 8월(103.1) 하락 전환했고, 9월에는 99.7로 100선 아래로 내려온 후 10월(98.2)과 11월(97.3), 12월(99.7) 연속 100선을 하회했다.

주택가격전망CSI는 전월대비 1포인트 하락한 92를 기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대출 규제 강화, 고금리 지속 등으로 주택 경기가 위축되면서다.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의미하는 주택가격전망은 지난해 9월 110을 기록한 후 11월 102로 떨어지더니 12월(93)부터 100선 아래로 내려왔다.

금리수준전망CSI는 전월보다 8포인트 떨어진 99을 기록해 100선 아래로 떨어졌다. 6개월 후 금리 수준이 현재보다 낮을 것이란 예상이 많아졌다는 얘기다.

금리수준이 100선을 하회한 것은 지난 2020년 12월(99) 이후 37개월 만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 종료 기대 등에 시중금리가 하향 안정세를 지속한 결과다.

황희진 한은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장은 "금리 전망이 낮아졌지만, PF부실 우려와 대출 규제가 작용하며 주택가격전망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물가수준전망CSI(143)는 농산물·외식 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나, 석유류 가격 하락폭 확대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면서 3포인트 하락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은 3.0%로 전달(3.2%)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소비자물가 상승 요인으로는 공공요금(65.3%), 농축수산물(45.9%), 개인서비스(24.6%) 등이 지목됐다.

황희진 한은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장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면서 장기적으로 안정될 것이란 기대가 있지만, 석유류 가격이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라 흐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