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디지털·기술 장관회의서 피력
사회문제 해결 AI활용 성과 검증
디지털 공동번영 글로벌협력 확대
고진(오른쪽)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이 14일(현지시간) 2024년 G7 의장국인 이탈리아의 아돌포 우르소 산업부 장관과 면담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디플정) 위원장이 민간의 인공지능(AI)이 정부 데이터를 학습하는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도입할 것을 예고했다.
이와 함께 행정 분야에서 추진 중인 AI를 활용한 공공 서비스 성과 검증 등 경험과 노하우를 국제 사회와 공유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국가 간 디지털 격차가 경제적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디지털 공동 번영’을 위해 기여하겠다는 것이다.
15일 디플정에 따르면 고 위원장은 14~15일(이하 현지시간) 이탈리아 베로나와 트렌토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산업 및 디지털·기술 장관회의’에 의장국 초청을 받고, 대한민국 수석대표로 참석해 이 같은 청사진을 밝혔다.
15일 트렌트에서 열린 ‘공공행정을 위한 AI 및 디지털 공공인프라’ 세션에서 고 위원장은 국내 공공부문에서 추진 중인 AI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혁신 사이의 균형점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6월 윤석열 대통령이 AI·디지털 규범 논의를 위한 UN 산하 국제기구 신설을 제안한 이후, 같은 해 9월에 자유·공정·안전·혁신·연대 등을 담은 ‘디지털 권리장전’이 발표된 바 있다.
고 위원장은 “한국 정부는 재난 안전, 취약계층 지원 등 AI를 공공행정에 활용하고, 성과를 검증 중에 있다”고 했다. 이어 “최근 민원 상담 AI를 사용해 국민 대기시간 14.5% 감소, 공무원 업무 효율성 10% 향상 등의 결과를 확인했다. 응급실 병상 정보 등 이료자원 실시간 정보를 AI로 분석하는 등 응급의료체계 과제도 추진 중”이라고 공개했다.
그는 “AI 프롬프트(명령어)와 같은 하나의 검색창을 제공해 국민이 원하는 것을 모두 해결하는 게 ‘디지털플랫폼정부’의 궁극적 목표”라며 “이를 위해 보안이 담보된 공간에서 민간의 최신 AI가 정부 데이터를 학습하는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도입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앞서서는 국가간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임을 나타내며 ‘글로벌 사우스(개발도상국)’ AI 역량 강화 지원 의지를 나타냈다. 특히 대한민국이 공적개발원조(ODA)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사실을 강조하며,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사업 등을 예로 들었다.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사업이란 아세안 국가들의 디지털 전환 지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5년간 3000만달러의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통해 고성능 컴퓨터 제공, AI 역량 강화, 탄소 중립 및 보건 분야 AI 적용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14일 열린 산업 장관회의 ‘AI와 신흥기술’ 세션에 참석한 고 위원장은 “국가 간 디지털 격차가 경제적차를 심화시켜선 안 된다”며 “한국이 디지털 공동 번영을 위해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사업 등을 통해 글로벌 사우스와 협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재우 기자
k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