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6 (월)

'뭉쳐야 산다'…초소형 군집위성, 일반 위성과 뭐가 다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구 궤도 일정 간격으로 도는 위성 무리…"더 넓게·자주 관측"

폭·길이 0.6m, 높이 1.2m…경제성 확보 위해 크기 줄여

뉴스1

초소형 군집위성 '네온샛'의 모습. (과기정통부 제공)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한국이 처음 운영을 시도하는 초소형 군집위성 '네온샛'(NEONSAT) 1호가 24일 뉴질랜드 발사장에서 발사됐다. 군집위성이란 같은 운영 목적을 지닌 채 지구 궤도를 일정한 간격으로 도는 위성 무리다.

위성이 떼를 지어 다니기에 큰 위성 한 기를 쏘는 것에 비해 더 넓은 지역을 더 자주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위성들과 가장 큰 차이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네온샛 1호는 이날 오전 7시 32분(현지시간 오전 10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미국 우주기업 로켓랩의 발사체 '일렉트론'에 탑재돼 발사됐다.

이후 약 50분 만인 오전 8시 22분쯤 발사체와 분리 후 최종 궤도에 투입됐다. 네온샛 1호는 지구를 두 바퀴가량 돈 뒤 오전 11시 55분쯤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교신할 예정이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높은 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와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고자 개발됐다. 2026년과 2027년 각각 5기가 추가 발사돼 총 11기가 운영된다.

11기가 군집 운영되면 매일 3회 이상 한반도 지역 촬영이 가능해진다. 중대형 단일 지구관측 위성보다 자주 찍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뉴스1

초소형 군집위성 '네온샛' 1호 발사 모습. (과기정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57년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1호가 최초 발사된 후 2012년까지 우주물체(인공위성, 우주선, 탐사선) 6997개가 발사됐다.

우주물체 중 지구 궤도를 따라 지구를 돌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게 인공위성이다. 사용 목적에 군사·통신방송·기상·원격탐사·항법·과학위성 등으로 나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 주도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쎄트렉아이가 협력해 개발한 네온샛은 초소형 군집위성이란 이름처럼 크기가 작다. 무게는 100㎏이 되지 않는다. 발사 시엔 폭·길이 0.6m, 높이 1.2m 크기지만 궤도상에선 폭·길이가 각각 2.0m, 1.8m로 달라진다.

군집위성을 초소형으로 제작한 이유는 경제성 확보 때문이다. 개발비는 물론 발사비가 저렴하다. 발사에 대당 수천억 원이 필요한 중대형 위성과 달리 초소형 위성은 크기가 작아 한 개 발사체에 여러 개를 실을 수도 있다.

소형 승용차만 한 중대형 위성과 비교하면 작지만 성능은 뛰어나다. 고도 500㎞ 궤도에서 흑백으로는 1m 크기, 컬러로는 4m 크기 물체를 분간할 수 있는 광학카메라를 장착했다.

10기 운영을 기준으로 70만㎢에 이르는 범위의 대용량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불필요한 해외 영상 구매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해외 지역서 운영할 경우 1m 이하급 고해상도 영상시장에서 수익도 기대된다. 과기정통부 측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위성영상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경제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1

초소형 군집위성 시스템 지상 궤적. (과기정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보·사회적 측면에서 이점도 있다. 기존 고해상도 정찰 자원과의 시너지 효과로 24시간 주요 표적 감시체계를 강화할 수 있다. 또 태풍·홍수·지진·산불·가뭄·폭설 등 위성 영상정보를 활용해 상황 발생 시 국가적 대응 능력도 높일 수 있다.

한편, 네온샛 1호를 지구 궤도로 수송한 로켓랩은 이번 발사에 'B.T.S'(Beginning Of The Swarm·군집의 시작)라는 임무명을 붙였다. 최근 K-팝 열풍을 고려한 작명이다.

cho8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