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4 (금)

증권가 “구조조정은 환영…손실인식 추가 확대 불가피” [PF 연착륙 대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신평 “증권, PF 추가손실 3.1~4조원…추가 충당금 1.1조 적립필요”

이투데이

금융위원회 권대영 사무처장이 13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PF의 질서 있는 연착륙을 위한 정책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증권업계는 13일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방안’에 대해 구조조정은 환영하지만, 취약 주체의 손실 인식 확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평가했다.

이날 금융당국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사업성이 있는 부동산 PF 사업장에 자금을 원활하게 공급하고, 사업성이 부족한 곳은 정리를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사업성이 부족한 곳은 금융사 스스로 정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2금융권의 충당금 적립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추가 적립을 적극 유도하겠다고 했다.

“고금리 이자 부담 덜기 전까지 건전성 우려 지속”


증권업계의 평가는 대체적으로 비판적이었다. 익명을 요구한 A증권사 관계자는 “중소형사들의 충당금 적립 부담이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증권사들은 대규모 손실 인식에 따른 부담 가중으로 일시에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충당금 적립이 어려운 곳들이 많다”고 말했다.

또 다른 B증권사 관계자는 “부실 사업장 정리라고 해도 대다수 사업장은 대출 만기 연장이 계속 이어지는 건데 고금리 기조가 아예 끝나 이자 부담이 덜어지기 전까지 건전성 우려는 지속될 것”이라며 “여전히 언제 터질지 모르는 부실 폭탄을 떠안고 있다는 느낌 지울 수 없다”고 속내를 밝혔다.

C증권사 관계자는 “모호했던 기준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다만, 부실 사업장을 정리하는 세부 기준 등에 대해서는 조금 아쉬움이 있다”고 했다.

D증권사 관계자는 “이번 방안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든다. 상황 안 좋은 사업장 골라내 경·공매 하자는 취지는 좋지만, 결국 어떻게 경·공매를 진행하겠다는 것인지 구체적 방안이 안 나왔다는 점에서 추진력에 대한 의심은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또 “경·공매가 진행될 경우 캐피탈, 저축은행 등 중소형 금융사의 막대한 충당금은 어디서 조달하라는 것인지 세부적인 내용의 대책들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E증권사 관계자는 “적기 구조조정과 부실채권(NPL) 거래 활성화는 PF시장의 바닥을 앞당기는 요소가 될 것”이라면서도 “다만, 이 과정에서 취약 주체의 손실인식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증권, 부동산 PF 추가손실 3.1조~4조 원


나이스신용평가는 이번 발표에 대해 “사업성이 부족한 PF 사업장의 정리가 가속화해 해당 사업장과 관련한 금융권의 손실인식이 추가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이에 맞춰 추가 충당금 적립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증권, 캐피탈, 저축은행은 부동산 PF가 예상된 추가손실의 상당부분을 올해 중 인식해야 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나신평이 예상한 부동산 PF 추가손실 전망 규모는 증권 3조1000억~4조 원, 캐피탈 2조4000억~5조 원, 저축은행 2조6000억~4조8000억 원이며, 기적립된 대손충당금을 제외한 추가 적립 필요 충당금 규모는 증권 1조1000억~1조9000억 원, 캐피탈 9000억~3조5000억 원, 저축은행 1조~3조3000억 원이다.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신평은 수익성 및 건전성 하방 압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업권별 자기자본 대비 추가 적립 필요 충당금은 증권 1.4~2.4%, 캐피탈 2.8~11.1%, 저축은행 6.8~22.4%로 차이가 나타난다고 봤다. 업권 내 기업별 실적 저하 수준 및 손실흡수능력 또한 차별화되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이번 발표안으로 부동산 PF 관련 손실 인식이 가속화되어도 제2금융권 전반으로 부실이 확산할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제2금융권의 자기자본 및 기적립 충당금 규모 등 손실대응능력이 과거 대비 제고된 상황이고, 그간의 각종 규제 및 정책 등을 통해 부동산 PF의 무분별한 확장이 제한되어왔기 때문이다.

나신평은 “증권, 캐피탈, 저축은행 3개 업종 자기자본 대비 추가 적립 필요 충당금은 2.4~7.0%로, 관련 손실 규모는 각 업권의 손실흡수능력을 고려할 때, 대체로 감내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한다”고 평가했다.

충당금 적립부담, 중소형 증권사가 가장 커


금융투자협회 등에 따르면 증권 대형사의 국내 고위험 부동산금융 대비 충당금은 작년 3월 13.2%에서 연말 27.1%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중소형사도 11%에서 19.7%로 크게 늘었다. 충당금은 손실을 대비해 적립하는 자금으로, 회사가 재정적 안정성을 위해 채권 중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을 따로 쌓아두는 것이다. 회계적으로 비용으로 처리돼 실적 감소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증권사의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에도 부동산PF 익스포저 감안시 손실 완충력이 여전히 미흡하다는 시각도 있다. 국내외 부동산 익스포저는 약 42조5000억 원으로 추산된다. 이 가운데 5조5000억 원(12.9%)가 누적손실로 인식된다. 대형 증권사 약 4조 원, 중소형사 약 1조5000억 원이다.

한국신용평가는 “PF 부실 정리 과정에서 업권 전반의 충당금 적립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중소형 증권사>대형증권사>저축은행, A급 캐피탈사>AA급 캐피탈사 순으로 적립수준이 아직 미흡하다”고 진단했다.

[이투데이/권태성 기자 (tskw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