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국방과 무기

"시진핑 만난 푸틴, 무기 지원 기대했으나 성과 없는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푸틴 구애에 시진핑 반응 미온적

서방언론 "시진핑, 러·서방 사이 줄타기 시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6∼17일 중국을 국빈 방문해 적극적인 구애를 펼쳤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온적 태도로 일관했다는 서방 언론들의 평가가 나왔다. 푸틴 대통령 입장에선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중국의 도움이 절실하지만, 별다른 실익이 없는 시 주석은 서방을 의식해 적절한 거리를 유지했다는 분석이다.
아시아경제

중·러 수교 75주년 기념 공연을 관람하는 양국 정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국 BBC 방송은 17일(현지시간) "러시아와 중국 국영매체들은 양국 정상의 우정을 집중 조명했지만 사실 이건 더 이상 동등한 동반자 관계가 아니었다"고 보도했다.

BBC는 "푸틴 대통령은 중국 정부가 강력한 제재를 받고 고립된 러시아와 무역을 지속하길 원하며 공손한 태도로 중국을 찾았다. 그의 발언은 감미로운 어조와 비위를 맞추는 표현들로 채워졌다"고 짚었다.

특히 푸틴 대통령이 자신의 가족이 중국어를 배우고 있다고 밝힌 부분에 주목했다. 공개석상에서 자녀에 관한 언급을 극히 절제하는 푸틴 대통령의 평소 모습과 대비된다는 분석이다. 다만 시 주석의 반응은 "이런 고상한 칭찬이 담긴 말투를 따라 하지 않았다. 대신 그의 발언들은 보다 형식적이고 심지어 건조하기까지 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BBC는 "서방과의 관계가 경색될 수는 있지만 중국 정부는 러시아처럼 스스로를 세계와 단절하지 않았고 그러길 원치도 않는다"면서 "시 주석은 (러시아와 서방 사이에서) 절묘한 균형을 잡으려 시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도 "중국 지도자(시진핑)가 푸틴을 버리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러시아 친구(푸틴)와 달리 혼란을 통해 얻을 것이 없다"면서 "중국 경제가 둔화하는 상황에선 서방과의 완전한 결별을 피하는 게 이익이 된다"고 지적했다.

영국의 일간 텔레그래프 보도에서 미국의 아시아 전문가인 마이클 오슬린은 "단일 패권국이 되진 못하더라도 중국은 강대국 중 하나가 될 것이지만 러시아는 실상 한때 강대국이었던 것의 유산에 불과하다"면서 두 국가가 그릴 궤적은 완전히 다르며 장기적으로는 동등한 동반자 관계가 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 CNN 방송은 푸틴 대통령이 이번 중국 방문에서 실질적으로 얻어낸 것이 많지 않아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 매체는 "비록 막후에서 어떤 논의가 이뤄졌는지 불확실하지만 푸틴은 공개적으로 인정된 성과를 거의 얻지 못한 채 베이징을 떠났다"면서 "거창한 수사에도 구체적인 공약은 거의 없었다"고 전했다.

커트 볼커 전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주재 미국 대사는 "푸틴은 더 많은 도움을 요청하려고 중국에 갔지만 그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지 않다"며 "그는 무기나 탄약을 비롯해 전쟁을 위한 직접적인 지원을 중국으로부터 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CNN에 말했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