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인도 증시 주춤에도 자금 유입..."성장 잠재력 여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넥스트 차이나'로 불리는 인도 증시가 올들어 상승세를 멈추고 정체된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전망이 이어지고 있어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은 식지 않고 있다. 운용업계도 인도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를 선보이며 투심잡기에 나서고 있어 인도 증시로 향하는 투자자들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2일 펀드 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평균 수익률이 36.58%에 달했던 인도 주식펀드는 올들어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지고 총선 실시로 인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한달 평균 수익률이 2.63%에 그치는 등 주춤거리고 있다. 이에 비해 중국 주식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6.80%를 기록하는 등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중국 주식 펀드는 최근 한달간 719억원 순유출(유출액이 유입액보다 많은 것)된 반면 인도 주식 펀드는 1499억원 순유입됐다.

개인 투자자들은 인도 증시가 다시 강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고 투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이끄는 여당이 현재 진행 중인 총선에서 승리해 3연임에 성공하면 구체적인 경기 부양책이 제시될 수 있어 연초 이후 강보합세를 보였던 인도 주식시장이 본격적으로 상승세를 탈 것으로 예상된다. 우지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인도의 가파른 성장으로 인해 인도와 중국의 '세계 성장 엔진' 역할 교체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면서 "고성장의 행보가 예견돼 있는 만큼 인도는 향후 글로벌 주식시장에서 매력적인 투자처로 더욱 각광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도 증시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이어짐에 따라 업계에서도 인도 관련 ETF를 출시하며 적극적인 시장 공략을 펼치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지난 8일 인도 최대 기업집단인 타타그룹 산하 10개 계열사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KODEX 인도타타그룹' ETF를 내놨다. 이 ETF는 인도의 3대 성장동력산업을 선도하는 타타그룹 내 핵심 10개 기업에 선별 투자한다. 해당 ETF의 상장 이후 개인 순매수 규모는 85억원에 이른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14일 소비재 기업에 투자하는 'TIGER 인도빌리언컨슈머' ETF를 상장했다. TIGER 인도빌리언컨슈머 ETF는 타타자동차, 마힌드라그룹, 마루티스즈키, 바자즈오토 등 인도 소비재 기업 상위 20개 종목을 편입했다. 개인은 지난 21일까지 이 ETF를 92억원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태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지금까지는 니프티50 지수를 추종하는 ETF만 있었다면 이제는 타타그룹주, 소비 등 세분화된 투자도 가능하게 됐다"면서 "신규 상장한 ETF는 대표 지수 대비 소비, IT, 인프라 기업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으로 누적 수익률,위험 대비 수익률 측면에서도 대표 지수를 웃도는 성과를 기록 중이다"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