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시민도 여야도 한데 모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문재인 전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씨와 함께 추도식장에 들어서고 있다. 최상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되자 세상이 금방 바뀔 줄 알았죠. 그러나 세상은 그렇게 되지 않았어요. 그분이 꿈꾸던 세상이 오려면 아직도 멀었단 말이에요. 그렇지만 ‘역사는 더디다. 그러나 반드시 진보한다’던 노 대통령님의 말을 지금도 믿고 삽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에서 시민을 대표해 추도사를 한 명계남 배우가 이렇게 말했다. 그는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대표일꾼을 지냈고, 노 대통령 서거 다음해인 2010년 봉하마을 인근으로 아예 이사를 와서 지금까지 살고 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이 23일 오후 2시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 있는 그의 묘소에서 열렸다. 노 대통령은 2004년 12월6일 프랑스 소르본대학 초청을 받아서 방문했을 때 “지금 여러분의 생각과 실천이 바로 내일의 역사가 될 것입니다”라고 연설했는데, 노무현재단은 15주기 추도식 주제를 여기에서 빌려와 ‘지금의 실천이 내일의 역사입니다’로 정했다.



노무현재단은 “시대와 세대를 넘어 민주 시민 모두에게 필요한 실천적 가치”를 주제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주제영상에 등장한 노 전 대통령도 “우리 아이에게는 정의가 승리한다는, 착한 사람이 이긴다는 역사를 물려줍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 전 대통령의 정신적 지주였던 송기인 신부도 공식추도사에서 “우공이산, 당신의 생각대로 더디지만 진득하게 걸어가겠습니다. 더불어 행복한 세상, 사람 사는 세상, 대동의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다시 당신 앞에 서는 날 떳떳할 수 있게 온 힘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다짐했다.



한겨레

노무현 대통령 묘소 들머리에 세워진 화환. 최상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봉하마을에 설치된 노무현 대통령 추모 시벽. 최상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노무현 대통령이 살았던 ‘대통령의 집’ 앞 나무에는 그를 기리는 문구가 적힌 노란색 리본이 달렸다. 최상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봉하마을은 15년이란 세월이 무색할 정도로 여전히 노 대통령의 목소리로 가득했다. 자원봉사자로 나선 이국화(48·경기 화성)씨는 “노무현 대통령을 기리는 마음이 국민 가슴 속에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을 느꼈다. 노 대통령의 어록을 우리 아이에게 꼭 전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추모공연을 한 ‘150인 시민합창단’에 참여한 김오균(68·충남 아산)씨는 “해마다 노무현 순례길에 참가했는데, 올해는 시민합창단을 모집한다는 말을 듣고 순례길 동료 12명과 함께 합창단에 참가했다”고 말했다.



한편, 추도식에는 여야 지도부가 총출동했다. 김진표 국회의장, 한덕수 국무총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황우여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등 정치권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22대 국회의원 당선자는 모두가 참석했다. 대통령실에선 홍철호 정무수석이 참석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도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영국 유학을 떠났던 ‘마지막 비서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잠시 귀국해서 추도식에 참석했다.



정세균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노무현 대통령은 참여정부 5년 동안 오로지 한반도 평화와 번영, 대한민국 국익을 위해 노력했다. 미래를 바라보는 혜안으로 대한민국 미래를 설계했다. 우리 국민의 저력에 대한 굳은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다”라며 “깨어있는 시민 여러분, 노무현 대통령이 이루지 못한 꿈, 그 뒤를 함께 해주십시오”라고 추모객들에게 인사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