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韓 납북자 해결' 명시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본인 납치 해결'은 이미 두차례 반영

연합뉴스

2005년 일본인 피랍자 메구미의 아버지를 만난 납북 고교생 김영남 어머니
[연합뉴스 자료사진] jjaeck9@yna.co.kr <저작권자 ⓒ 2005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오는 2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채택될 공동성명에 한국인 납북자 문제를 명시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24일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내용이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이후 발표할 공동성명 또는 공동선언문에 반영되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2018년 7차, 2019년 8차 한중일 정상회의 후 공동성명에 일본인 납북문제 해결이 포함됐다"며 "따라서 이번에도 일본이 납치 문제를 담으려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한국인 납북자도 같은 대목에서 언급하면 된다"고 말했다.

지난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열린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향후 10년 3국 공동비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및 대한민국 정상은 일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간 납치 문제가 대화를 통해 가능한 한 조속히 해결되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에 앞서 2018년 5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7차 회의에서 발표된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도 '한국과 중국의 지도자들은 북일 간의 납치자 문제가 대화를 통해 조속히 해결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시민사회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있다면 납북자 문제 해결을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포함하는데 큰 난관은 없을 것이라 전망했다.

신희석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분석관은 "중·일 지도자들이 일본인 납치자 문제 해결을 공동성명에 반영하면서 한국 피해자의 언급을 막을 논리가 없을 것"이라며 정부의 관심과 노력을 촉구했다.

한편 이날 국내 납북 현장인 전북 군산 선유도에서 납북자의 송환을 염원하는 송환기원비 제막식이 열린다.

선유도는 1977년 8월 당시 고교생 김영남이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치된 현장이다.

제막식에는 김영호 통일부 장관, 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 최성룡 전후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이사장과 함께 김영남의 두 형 등 납북 피해 가족들이 참석한다.

tre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