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文 회고록이 불 지핀 與의 ‘김정숙 특검’ 주장…조국혁신당 “말만 말고 발의해라”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국혁신당 “특검법 발의한다면 후폭풍 온전히 감당하게 될 것”

세계일보

2018년 11월7일 당시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아그라 타지마할을 방문해 건물을 둘러보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회고록으로 소환된 김정숙 여사의 인도 타지마할 방문에 국민의힘이 ‘특검’ 카드를 꺼내 들자, 조국혁신당이 24일 말만 하지 말고 꼭 발의하기를 바란다며 강력한 부결 의지를 드러냈다.

강미정 혁신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국민의힘이 하고 싶다면 추경호 원내대표 공언대로 22대 국회에서 반드시 ‘김정숙 여사 특검법’을 발의하라”며 “조국혁신당은 더불어민주당 등 뜻을 같이하는 야당과 요건도 갖추지 못한 특검법을 부결시키겠다”고 경고했다.

강 대변인은 국민의힘이 특검법을 발의한다면 그 후폭풍을 온전히 감당하게 될 거라며, “아무리 당론으로 강제하더라도 국민의힘 의석수인 108표도 못 나올 것”이라고 꼬집었다.

앞서 같은 날 오전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 임이자 의원은 “‘김정숙 타지마할 논란’은 종영 후 더 화제가 되는 드라마를 보는 것 같다”며 “잊히고 싶다더니 본심은 정치 한복판에 서고 싶어하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독자외교’로 둔갑시켜 김정숙 3대 의혹을 재소환했다”고 주장했다.

임 의원은 “논란의 본질은 김 여사의 초청 주최가 아닌 개인의 욕망을 위해 행정부 권력이 이용당했는지에 대한 초점이 모아져야 한다”며, “만약 국민 혈세로 옷 사 입고 관광하고, 없는 해외 일정까지 만들어 냈다면 이는 명백한 국정농단”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민 단체 등이 김 여사를 배임·횡령·강요 등 혐의로 형사고발했지만 여태 수사는 진척되지 않고 있다”면서, “기존 수사기관에서 제대로 진척이 되지 않을 때 도입하는 게 특검인 만큼 ‘김정숙 여사 의혹’은 특검의 발동 요건이 정확히 들어맞는다”고 날을 세웠다.

같은 당 송언석 의원도 “대통령직에서 퇴임하며 잊히고 싶다던 문재인 전 대통령은 국민들이 잊을 만하면 나타나서 국민 분노를 유발하고 있다”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18년 ‘한-인도 문화협력 대표단’ 관련 예비비 집행 내역을 제출했는데 김정숙 여사의 동행으로 예산 규모가 4억 가까이로 늘어났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당초 인도 요청대로 문체부 장관이나 직원들로만 대표단을 꾸렸으면 440여만원으로 가능했을 것이 무려 3억7320만원으로 급증했다”며 “김정숙 여사 동행을 위해 대통령 전용기가 뜨는 바람에 무려 2억4000여만원 가까이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한 국민의힘의 ‘김정숙 특검’ 필요성 제기에 강 대변인은 “속된 말로,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힌다”며 “해외여행, 명품쇼핑, 국정농단하면 국민 대다수는 김정숙 여사가 아닌 김건희 여사를 떠올릴 것”이라고 받아쳤다.

문 전 대통령은 지난 19일 출간한 회고록에서 김 여사의 2018년 인도 타지마할 단독 방문에 대해 “(정상 외교자의) 첫 단독외교”라는 설명을 내놨다. 김 여사의 방문이 외유성 출장이 아니라 인도 정부의 초청에 따른 공식 외교 활동이라는 강조다.

문 전 대통령은 김 여사가 나랏돈으로 관광한 것처럼 악의적인 왜곡이 나온다면서, “제가 이 얘기를 소상하게 하는 이유”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영부인의 첫 외교 아니냐’는 질문에는 “평소에도 정상 배우자들이 정상을 보조하는 배우자 외교를 많이 하기 때문에 ‘영부인의 첫 외교’라고 말하면 어폐가 있다”며 “(배우자의) ‘첫 단독외교’라고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라고 답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