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너 대기업 다녀? 난 농사 짓는다”…농가소득 5000만원 첫 돌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보조금 20% 증가에
국민연금 수령액 증가도 한몫


매일경제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농가 평균 연소득이 역대 처음으로 5000만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과일·채소류 가격이 급등한데다 정부의 농업 보조금이 20% 증가하는 등 공적 이전소득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가 및 어가 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연 평균 소득은 5082만8000원으로 전년보다 10.1% 증가했다. 농가소득 가운데 농작물 판매 등으로 버는 농업소득은 1114만3000원으로 17.5% 늘었다. 지난해 집중호우로 인한 작황 부진으로 하반기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올랐던 점이 농업·농가소득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이정현 통계청 농어업동향과장은 “채소와 과수 가격 상승, 쌀값 안정화 등 영향으로 농가소득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농가에 지급하는 보조금이 늘면서 농가 이전소득도 증가했다. 지난해 농가소득 중 이전소득은 1718만8000원에 달했다. 이중 직불금을 포함한 농업 보조금은 지난해 466만7000원을 기록했는데 전년대비 20.3%가 증가한 수준이다.

정부는 지난해 기본직불 지급요건을 완화했다. 종전에는 기본직불 대상농지를 2017~2019년 간 직불금을 1회 이상 수령받은 농지로 한정했지만 해당 요건을 삭제했다. 이와 함께 재배작물을 쌀에서 밀·콩 등으로 전환을 유도하는 전략작물직불제를 도입했고, 영농정착지원금 단가도 월 10만원 인상했다. 지난해 농업 직불금만 2조8000억원으로 정부는 2027년까지 이를 5조원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또 지난해 2667억원을 투입해 무기질비료 가격 인상분 차액을 지원했고, 1조원을 투입해 사료구매자금 저리 융자 사업을 진행했다.

지난해 6~7월 집중호우에 따른 재해보험금 지금액도 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자연재해로 인한 수확량 손실을 보상하는 재해보험금 지급액이 전년 대비 80% 증가했고, 집중호우·태풍 피해가 큰 농가에 기존 대비 3배 수준의 재해복구비가 지원되는 등 농업잡수입은 70%(32만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농작물 수입이 증가한 데에는 정부가 지난해 선제적 수급대책을 실시하면서 수확기 쌀값이 80㎏당 20만원 이상으로 상승한 효과도 반영됐다. 또 정부가 지난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고용허가 근로자 등 외국인 농업 인력을 총 5만명으로 전년보다 2만4000명 늘린 것도 농가 인력 부담을 줄였다.

농촌 고령화에 따라 농가의 국민연금, 기초연금 수급액이 늘어난 것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농가 이전소득 중 농업 지원금을 제외한 금액은 1160만3000원에 달했다. 지난해 기초연금 수급액 평균은 월 32만3000원으로 전년대비 1만5000원 늘었고,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은 37만3000원으로 같은 기간 2만7000원 늘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