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전 육군훈련소장 “훈련병 사망, 지휘관 성별 아닌 규정위반·안일함 탓”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고성균 전 육군훈련소장이 최근 발생한 ‘훈련병 얼차려 사망사건’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훈련병 얼차려 사망사건’으로 군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건에 대해 “성별과는 관계없이 ‘규정위반’과 ‘안일한 태도 탓’에 빚어진 일”이라는 전 육군훈련소장의 소신 발언이 나왔다.



고성균(66·육사 38기) 전 육군훈련소장은 지난 3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전직 육군훈련소장이 본 훈련병 순직사건’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고 전 소장은 제2작전사령부 참모장, 육군훈련소장을 지냈으며, 육군교육사령부 교훈부장을 끝으로 전역한 뒤 숙명여대 안보학과 교수로 일한 바 있다.



“훈련병과 유가족에게 심심한 애도를 표한다”는 말로 영상을 시작한 고 전 소장은 “육군이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고 질타했다. 그는 “일반 회사에 사규가 있듯 육군에는 육군 규정이 있는데, 이를 중대장이 지키지 않았다”며 “밤에 소란스럽게 떠든 것이 완전군장으로 군기훈련(얼차려)을 시킬 사안이었는지 따져봐야 한다. 군기훈련 시 완전군장은 할 수 있지만, 뜀걸음·구보는 하지 못하는 규정이 있다”고 짚었다.



이어 그는 ‘선착순’이 일제강점기 일본군의 잔재로, 군대 내에서 사라진 지 오래된 문화인데 이를 행했다는 것이 놀랍다는 반응을 보였다.



고 전 소장은 해당 훈련병이 입소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체력 단련이 안 된 상태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안타까운 것은 훈련병이 들어온 지 9일밖에 안 됐다는 사실”이라며 “신체적으로 단련이 전혀 안 된 상태에서 군기훈련을 해 동료가 중대장에게 ‘몸 상태가 좋지 않다’고 보고를 했을 텐데도 확인하지 않고 지속했다는 것은 간부의 자질이 의심스럽다”는 의견을 밝혔다.



고 전 소장은 또 간부들이 장병을 군인 이전에 하나의 인격체로 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훈련소는 군인을 만들기 위한 곳이고 부대는 적과 싸워 이기기 위한 조직이지만, 군인이기 이전에 한 인간으로서 간부들이 장병들을 한 인격체로 대해야 한다”며 “(이번 사건은) 단순히 큰 기계의 부품으로 생각한 결과가 아닌가 싶다”고 짚었다.



한편에서 중대장이 여성인 점을 지적하며 사건이 본질과 다르게 여군 자질 논란으로 번지는 점에 대해서도 “지휘관이 여자냐 남자냐를 떠나 규정된 군기훈련 지침을 무시하고 임의대로 무리하게 군기훈련을 시킨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규정 위반으로 일어난 일을 성별 문제로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우리 군을 위태롭게 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요즘 젊은이들의 나약함을 원인으로 짚는 일부의 행태에 내해서도 잘못된 일이라고 강조했다. 고 전 소장은 “과거의 기준으로 지금의 훈련병과 병사들을 재단하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간부 리더십 향상과 개인 생각이 아닌 규정과 상위법에 따라 부대 지휘가 이뤄져야 이번과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