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소련 침공’ 때문이라는데…84년 만에 반납된 도서관 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핀란드 헬싱키 중앙도서관 전경. 누리집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핀란드의 한 도서관에서 빌려준 책이 무려 84년 만에 돌아온 사실이 전해져 화제다. 도서관 쪽은 반납일 전에 소련이 핀란드를 침공하면서 대출자가 반납을 하기 어려웠으리라고 보고 있다.



핀란드 수도 헬싱키 중앙도서관에서 1939년에 반납됐어야 하는 책이 최근 ‘지각 반납’됐다고 지난달 31일(현지시각) 시엔엔(CNN)이 보도했다. 세기를 넘어 반납된 책은 아서 코난 도일의 소설 ‘피난민’의 핀란드어 번역본이다.



이 책은 원래 1939년 12월26일까지 반납됐어야 하는 책이다. 책에 붙어 있는 대출 카드를 보면 이 책은 헬싱키에 살았던 한 사업가가 빌려 갔던 것으로 추정된다.



도서관쪽은 정해진 예정 반납일이 한 달이 채 남지 않은 1939년 11월30일에 소련이 핀란드를 공격하면서 대출자가 반납할 새가 없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이던 당시 소련의 침공으로 시작된 소련과 핀란드의 ‘겨울 전쟁’은 다음 해 3월 중순까지 계속됐다.



도서관의 사서 헤이니 스트랜드는 “책을 반납한 사람은 원래 대출자와 자신이 어떤 관계인지 말하지 않았고 우리도 묻지 않았다”며 “가끔 수십 년씩 늦게 돌아오는 책들이 있는데, 가족이나 친구들이 숨진 이의 소지품을 정리하다가 뒤늦게 발견한 경우가 많다. 이 책도 그런 경우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책은 80년이 넘는 시간이 지났지만 양호한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원래 도서를 연체할 경우 최대 6유로의 벌금을 부과하지만, 세월이 많이 흐르면서 이 책 자체가 도서관 시스템에 등록돼 있지 않아 벌금도 부과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 도서관에서 일하는 또 다른 사서는 “우리의 목적은 책을 지키는 게 아니다. 우리는 독서를 장려하고 모든 이들이 책과 지식에 접근할 수 있게 하려고 여기(도서관)에 있는 것”이라며 “도서관은 매우 인간적인 장소다. 도서관의 책은 우리 모두의 것이고 늦게 돌아오는 건 큰 문제가 안 된다”고 말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