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전환지원금 시행으로 알뜰폰 순증 1만명대로 감소… 2012년 이후 처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서울 시내에 위치한 알뜰폰 스퀘어에서 직원이 핸드폰 진열대를 정리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알뜰폰(MVNO) 번호이동 순증 규모가 1만명대로 감소한 반면 알뜰폰에서 이동통신사(MNO)로 유입되는 가입자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간 번호 이동 시 발생 비용 일부를 지급하는 전환지원금 제도와 저가 5G(5세대 이동통신) 요금제 등으로 알뜰폰 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5월 이통3사에서 알뜰폰으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2% 감소한 7만3727명, 알뜰폰에서 이통사로 넘어간 가입자는 5만9276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알뜰폰 순증 가입자 수는 1만4451명으로, 전월(2만158명) 대비 28.3% 줄었다.

알뜰폰 가입자 순증이 2만명 아래로 감소한 것은 2012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올들어 1월 7만8060명, 2월 6만5245명, 3월 4만5371명으로 매달 순증 규모가 지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특히 번호이동 전환지원금 정책이 본격화된 4월부터 알뜰폰으로 유입되는 고객이 급격히 감소 중이다.

SK텔레콤은 올해 2만7000원에 데이터 6GB(기가바이트)를 주는 5G(5세대 이동통신) 다이렉트 요금제를 내놨고, KT 온라인 전용 요금제 요고의 경우 3만원에 5GB를 제공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최근 너겟 요금제 정규 상품 개편을 통해 5G 최소 요금을 2만6000원까지 줄였다.

알뜰폰 업계는 5G 단말과 LTE 요금제 교차가입 수요를 노리는 무제한 요금제와 보이스피싱 안심 요금제, 프랜차이즈 카페 결합 요금제 등 이색 상품을 출시하며 가입자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김민국 기자(mansay@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