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8 (토)

“8천개의 눈이 지켜본다”…김호중 꼼짝못하게 한 ‘이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국 최초 설립된 강남구 도시관제센터
지난해 차종·색상만으로 납치범 특정해내
경찰, CCTV로 지난해 2만 명 넘게 검거
살인·강간·절도 범죄 검거건수 크게 늘어


매일경제

지난 3일 서울시 강남구 강남도시관제센터에서 문일선 강남경찰서 경감이 강남구 일대 CCTV 영상을 분석하고 있다. [사진 = 박동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압구정 101번, 106번, 107번 카메라 봐주세요. 이쪽으로 도망갔습니다.”

최근 매일경제가 찾은 강남도시관제센터에서는 서울 강남경찰서 소속 문일선 경감과 폐쇄회로(CC)TV 모니터링 요원들이 수십대의 PC 모니터로 약 8000여개에 달하는 강남구 CCTV 카메라 영상을 재빠르게 체크하고 있었다. 강남지역에 설치된 모든 방범용 CCTV를 통해 범죄를 예방하고 범인을 검거하는 것이 이들의 임무다.

이날 센터에는 강남구 도산대로 인근에서 누가 차량을 훔치려 한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문 경감은 확인해야 할 CCTV를 차례로 외치며 급박하게 범인의 동선을 쫓고 있었다.

지난해 12월에는 도심 속 납치사건이 발생했는데 당시에도 범인을 검거하는데 CCTV가 큰 역할을 했다. 외부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위급 상황을 알리는 ‘코드 제로’가 발령되는 등 경찰 내부에선 긴장감이 컸다고 한다.

당시 경찰이 파악한 단서는 신논현역 인근에서 여성을 납치한 ‘흰색 아반떼’ 차량이 한남대로 방향으로 도주했다는 것. 강남도시관제센터에서는 신고가 접수된 시간과 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계산해 용의자가 탄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을 추적했고, 차량번호까지 파악했다. 용의자는 신고 접수 후 2시간여 만에 현장에서 순찰조에 긴급체포됐다.

오늘날 CCTV 없는 방범은 상상할 수도 없다. 존재 자체로 범죄자를 두번 생각하게 만들고 사건 발생 후 용의자를 찾아내고 범인을 추적해 검거하는 데 결정적 증거자료로 활용된다. 사생활 침해 논란이 있지만 CCTV가 수행하는 기능과 비교하면 사소하게 느껴질 뿐이다.

최근 음주 뺑소니 혐의로 구속된 가수 김호중 씨와 경복궁 담벼락 낙서를 지시하고 경찰 조사 단계에서 도주까지 한 ‘이팀장’을 붙잡을 수 있었던 것도 CCTV 덕이었다.

매일경제

매일경제가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로부터 제출받은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CCTV 영상 분석을 통해 검거된 범인은 2020년 1만7455건에서 지난해 2만1193건으로 최근 4년 새 약 2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살인 검거 건수가 8건에서 29건으로 3배 이상 늘어나는 등 CCTV를 활용한 강력범죄나 성범죄 검거가 크게 늘고 있다.

최근 서울 강남의 한 오피스텔에서 모녀를 흉기로 찌르고 도주한 용의자 역시 경찰이 CCTV 영상을 바탕으로 동선을 면밀하게 분석해 16시간 만에 긴급체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모녀살해범 검거에 핵심 역할을 했던 강남도시관제센터는 2004년 전국 최초로 설치된 CCTV 관제센터다. 파견된 경찰관 4명이 교대로 센터 전반을 지휘하고, 강남구청 소속 관제요원 등 30여명, 야간에는 10여명이 24시간 체제로 함께 근무하고 있다.

범죄가 발생하면 서울청 112상황실에 신고가 접수되고 관할서 상황실로 전파된다. 관할서에서 지역 관제센터에 지원을 요청하면 CCTV로 범죄 용의자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수사가 이뤄진다. 문 경감은 “영상의 정밀도는 100미터 떨어진 번호판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해졌지만 경우에 따라 왜곡돼 보일 수 있어 오랜 경험이 중요하다”며 “가령 곤색 의상을 입었는데 빛 반사에 따라 회색으로 보일 수 있고 체형도 각도에 따라 달리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매일경제

[사진 = 픽사베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서울시내 방범용 CCTV는 총 3만4591곳에 9만9166대가 설치돼 있다. 다만 CCTV가 설치돼있지 않거나 화각(촬영범위)이 제한되는 이른바 ‘사각지대’가 도심 곳곳에 여전히 존재한다. 범인을 신속하게 검거하기 위해서는 CCTV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신기술을 활용 면밀한 감시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욱 경찰대 교수는 “지능형 CCTV가 도입되고 있지만 특정 골목밖에 볼 수 없는 한계가 있고 설치 비용이 많이 든다”며 “고정과 이동이 자유로운 드론을 도입하면 감시범위가 넓어지고 범죄 현장에서의 이상 징후 등을 더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 활용을 고려해볼 만하다”고 제언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