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8 (월)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50년 전 광주·전남 사회운동 모태 ‘민청학련’ 사건 돌아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1974년 11월 민청학련 사건 구속자 가족 30여명이 구속자 석방을 촉구하며 서울 명동성당 일대에서 거리시위를 벌이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 50주년을 맞아 광주·전남 지역 사회운동을 돌아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광주마당(사), 전남대민주동우회, 광주전남민주화운동동지회는 12일 오후 3시 광주 동구 미로센터에서 ‘광주사회운동에서 민청학련 세대의 역할’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민청사건에 참여했던 이철 전 민청학련 동지회 상임대표와 김정길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상임대표가 발표자로 나서 당시 상황을 이야기한다. 김희송 전남대 5·18연구소 전임교수는 ‘유신시기 광주전남지역 사회운동-민청학련 사건을 중심으로, 운동의 주체·동원구조·의미틀의 변화’를 주제로 발표한다.



김 교수 발표문을 보면 광주·전남 사회운동은 1974년 민청학련 사건을 계기로 공개 투쟁 성격을 띤다.



1972년 12월 광주지역 최초의 반유신 투쟁이자 전국 최초 유신 반대 유인물 배포 사건이었던 ‘함성’지 사건은 참여자들이 학연과 혈연 등 개인적 연고를 중심으로 모였다. 고 김남주와 이강은 전남대 동문이자 해남중학교 동창이었고, 김남주는 고교 동창 송정민을 통해 사건 주모자로 기소된 박석무를 만났다.



김 교수는 당시 중앙정보부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김남주 등이 개인적 신뢰를 바탕으로 민주화투쟁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1973년 3월 지하신문 ‘고발’도 같은 구조로 진행했지만 중앙정보부 검열에 발각돼 배포하지 못했다.



이들은 불의한 유신체제에 맞서 4·19혁명과 같은 대중적인 투쟁을 호소하며 1974년 4월 서울과 연계해 민청학련 조직을 결성했다. 전국적인 시위를 계획했던 4월3일에 맞춰 박정희 대통령은 긴급조치 4호를 선포했고 중앙정보부는 민청학련을 북한 사주에 의한 정부 전복 단체라고 조작했다. 박정희 정권은 4월8일까지 자수기간을 뒀지만 김남주와 윤한봉 등 전남대 학생들은 일부러 4월9일 학내에서 시위를 벌였다. 이 사건으로 전남대 학생 18명 등 전국 180명이 구속됐다.



민청학련 사건은 광주·전남 사회운동의 모태가 됐다는 평가다. 참여자들은 1978년 6월 ‘우리의 교육지표’ 사건, 7월 ‘들불야학’ 개설, 11월 ‘쌀생산자대회’ 지원, 12월 ‘송백회’ 설립, 1979년 5월 ‘현대문화연구소’ 개설, 6월 ‘전남민주청년협의회’ 창립 등 학교를 벗어나 사회 전반으로 민주화운동을 확장했다.



이민철 광주마당 이사장은 “민청학련 세대들은 학생운동을 넘어 노동, 농민 등 지역 사회운동을 개척하는 역할을 했다”며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50년간 민청학련 영향을 되돌아보는 자리”라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