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엔비디아 10대 1 분할 첫 거래...주가는 1% 안팎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새너제이 AFP=뉴스1) 박형기 기자 =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이 18일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SAP센터에서 열린 엔비디아 개발자 콘퍼런스 ‘GTC 2024′ 기조연설 무대에 등장하고 있다. 엔비디아 로고가 압독적이다. 2024.03.18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새너제이 AFP=뉴스1) 박형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1분기 실적 발표에서 밝힌 것처럼 10일(현지시간) 자사 주식을 10대 1 비율로 액면분할해 거래에 돌입했다. 주가 영향은 크지 않을 거라던 예상과 비슷하게 일단 1% 안팎 상승국면을 유지하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5월에만 27% 급등했고 이달 들어 다시 10% 올라 시가총액은 3조 달러 안팎을 기록하고 있다. 분할 전 1200달러대였던 주가는 이날 분할로 인해 주당 120달러 초반에서 시작했다. 정오를 삼십분 남겨둔 현재 주가는 121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시초가보다 0.7% 안팎 오른 수준이다.

CNBC는 주식의 액면 분할은 회사의 기본 펀더멘털이나 주식의 내재 가치를 바꾸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일부에선 이러한 분할이 이론적으로 소매 주식 소유권과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주가를 올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주당 가격이 낮을 수록 더 많은 투자자에게 노출돼서 거래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의미다.

골드만삭스는 그러나 2019년 이후 45차례의 러셀 1000 주식 분할을 살펴본 결과, 뉴스가 나온 다음 주에 주가가 일반적으로 4% 상승했다가 몇 주 후 또는 발효일 무렵에는 가격이 제자리로 돌아왔다고 분석했다. 액면분할은 단기적인 심리 이슈이고 주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골드만삭스의 미국 주식 전략 책임자인 데이비드 코스틴은 "액면분할 발표 효과에 대한 한 가지 이론적 근거는 유동성 증가"라며 "그러나 분할이 발효된 후 유동성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가장 최근의 주식 분할 사례 중 일부는 오히려 소매 거래 활동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분할이 발효되기 6개월 전과 분할이 발효된 후 6개월 동안 일반 투자자가 거래한 주식의 평균 비율을 비교한 결과다.

골드만삭스는 기업들이 주식분할 이후 거래 활동에서 소매 비율이 평균 0.2%p 증가한 것에 그쳤다고 말했다.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아마존을 포함한 메가캡 기술주에는 이런 일반적인 통계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엔비디아는 2021년 주식 분할로 인해 소매 거래의 평균 점유율이 7%p 증가했고 주가도 한 달 만에 12%나 상승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따르면 2020~2021년 액면분할을 결정한 애플과 테슬라, 아마존 등 빅테크로만 대상을 좁혀 살펴보면 분할 후 주가는 1년에 평균 25%나 상승했다.

뉴욕=박준식 특파원 win0479@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