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지질자원연, '전기차 330만대 분량' 리튬 단독 탐사권 따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카자흐스탄 바케노 지역 리튬 광구 단독 탐사…리튬 2만5000t 부존 추정
본격 리튬 개발 시 한국 기업의 주도 가능성 커져

머니투데이

이평구 지질자원연 원장(왼쪽),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Kassym-Jomart Tokayev) 카자흐스탄 대통령(오른쪽). 이 원장은 토카예프 대통령과 12일 만나 바케노 지역 리튬 광구 탐사 결과와 향후 계획을 설명했다. /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자원연·KIGAM)이 리튬 약 2만 5000톤(t)이 묻혀있는 카자흐스탄 4개 리튬 광구를 단독으로 탐사한다. 10년 치에 달하는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지질자원연은 12일 오후 2시 카자흐스탄 힐튼 아스타나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한-카자흐스탄 비즈니스 포럼'에서 SK에코플랜트-카자흐산업건설부-타우켄삼룩(카자흐스탄 국영광물탐사회사)과 다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의 골자는 카자흐스탄 동부 바케노 지역 지륨 광구의 탐사권이다. 지질자원연이 주도해 카자흐스탄에 부존된 리튬 등 핵심 광물을 탐사·개발하는 방안이 공식화됐다.

카자흐스탄 산업건설부는 바케노 리튬 광구 4개의 하층토(subsoil)를 탐사할 수 있는 사용권(라이센스)을 지질자원연에 독점 부여한다. 향후 개발 과정에서도 한국 기업의 참여를 확대키로 했다.

이번 탐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추 탐사, 선광 플랜트 구축 등의 제반 과정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는 선광(광물에서 유해 성분을 미리 제거하는 작업)·제련(광물에서 금속을 분리·추출하는 작업)까지 현지에서 완료해 소재화된 리튬을 생산하는 게 목표다.

머니투데이

카자흐스탄 동부 바케노 지역의 광구 및 광체 분포지 /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



지질자원연 광물자원연구본부가 지난해 6월부터 카자흐 동부 바케노 지역을 대상으로 공동 지질 조사를 수행한 결과, 이 지역에 부존하는 리튬은 약 2만 5000t으로 예측됐다. 전기차 1대의 배터리에 평균 7.5킬로그램(kg)의 리튬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때 이는 전기차 약 330만 대에 들어갈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햇수로 따지면 배터리 10년 치를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질자원연은 "리튬 광구 독점 탐사권이 한국의 개발 우선권을 보장하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카자흐스탄이 현지 연구분원 설립을 요청한데다 투자 절차 간소화, 세제 정비 등을 골자로 한 '카자흐스탄 2029'를 국가 종합개발계획으로 내세우는 등 외국 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연구팀은 지난해 6월부터 카자흐스탄 바케노를 방문해 리튬 페그마타이트 부존 지역의 잠재 자원량을 평가했다. /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광체 유형별 리튬 함량 및 지표 함량 변화 추적 등 추가적인 정밀 탐사를 실시한다. 3차원 드론 지형탐사, 초분광이미지 기법 등의 최신 기법을 활용해 리튬 광체의 특성을 파악한 뒤 빠르면 2025년 상반기에 자원량 확인을 위한 탐사 시추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지질자원연에 바케노 지역 외에도 서남부 키질로르다 지역에 있는 리튬 광산(소금 사막)의 매장량 조사도 요청한 상황이다.

이평구 원장은 "카자흐스탄의 리튬 개발은 앞으로 10년간 국내 전기차 생산을 위한 배터리를 수급하고 핵심 광물 공급망의 새로운 활로를 열 중요한 기회"라며 "카자흐스탄에 우수한 선광 및 제련 기술을 전수해 핵심 광물 공급망의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