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의대 학부모들 “환자 불편에도 행동할 때”…강경 투쟁 압박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다음주 의료계 집단 휴진을 앞두고 14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병원에서 입원 환자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의대생 학부모들이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의 ‘전면 휴진’ 결정에 대해 실망스러움을 밝히며 더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했다. 학부모들은 “오늘의 환자 100명도 소중하지만, 앞으로의 환자는 1000배 이상 (중요하다)”고도 말했다.



15일 ‘의대생 학부모 모임’이라는 인터넷 카페에는 이런 내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게시물 제목은 ‘서울대 의대 비대위에 고함’이다.



학부모들은 이 글에서 “최근의 의료 파탄 사태로 현 의료 시스템의 구조적·근본적 문제를 알게 됐고, 사방이 온통 불합리에 비과학적이고 심지어 비굴하기까지 하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며 “지금껏 교수님들은 무엇을 하고 계셨나”고 적었다.



이어 학부모들은 “휴진 결의문을 읽고 감사 이전에 실망과 허탈함을 느낀다”며 “의대 증원 문제에 대해 상당히 너그러운 입장이던데 아직도 정부 눈치를 봐야 하나, 권력에 굴종해야 취할 수 있는 숨은 과실이라도 있는 것인가”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2025학년도 의대 교육이 (증원이 안 된) 서울대의 직접적 문제가 아니라서 그러신 건가”라며 “본인들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신다면 서울대 비대위는 해체가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겨레

의대생 학부모 모임 카페. 카페 화면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학부모들은 특히 “환자들에게 죄송한 마음을 알고, 어떤 사리사욕이 없는 분들인 것도 잘 안다”면서도 “오늘의 환자 100명도 소중하지만, 앞으로의 환자는 1000배 이상이다. 당장의 환자 불편에도 지금은 행동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카페는 정부가 의대 입학정원 증원 규모(2천명)를 발표한 직후인 올해 2월18일 개설됐다. 스스로 ‘의대생, 전공의 자녀를 든든하게 지원하려는 학부모 모임’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현재 회원 수는 1867명이다. 카페에 가입하려면 거주 지역과 휴대전화 연락처를 남겨야 하고 1주일 안에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앞선 이달 6일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비대위는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예고한 바 있다. 비대위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휴진 결정이 공익을 위한 것임을 헤아려 달라”며 “진료가 지금 반드시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분들께는 휴진 기간 동안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