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이슈 미국 46대 대통령 바이든

바이든-트럼프, 펜·메모장·물 한병만 들고 TV 토론 벌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든-트럼프, 2024 미 대선 첫 TV토론

27일 CNN 본사서 무청중 90분 진행

발언 차례 아닌 후보 마이크 오프

정책보다 네거티브 난상토론될 듯

NYT "상대후보 약점 드러내는 게 승리 전략"

아시아투데이

2020년 9월 29일(현지시간)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의 케이스웨스턴리저브 대학에서 첫 TV토론을 벌이고 있다./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오는 27일(현지시간) 미국 대통령 선거 첫 TV 토론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펜과 메모장, 물 한병만 주어진다고 토론 주관사인 CNN방송이 15일 밝혔다.

토론은 CNN 조지아주 애틀랜타 본사에서 후보의 사전 연설 없이 90분 동안 무청중 상황에서 진행되고, 두번의 광고 시간에 캠프 관계자는 광고 시간에 후보들과 접촉할 수 없다. 단상 배치는 동전 던지기로 결정된다.

양 대선캠프가 합의한 이번 토론의 세부 규칙은 상대 후보 발언 때 '끼어들기'를 막는 데 초점을 뒀다.

토론은 후보가 사회자의 질문에 2분 동안 질문에 답변하고, 이에 상대 후보가 1분 동안 반박하면 1분 동안 재반박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발언 차례가 아닌 후보의 마이크는 꺼진다. 아우러 발언 시간 5초가 남으면 후보에게 보이는 빨간색 표시등이 깜빡이고, 시간이 끝나면 마이크가 꺼진다.

이는 두 후보가 2020년 9월 19일 벌인 1차 TV 토론 때 상대방 발언 시간에 끼어들기가 많았다는 지적을 받은 후 그해 10월 22일 진행된 2차 토론에서 음소거 장치가 도입된 것과 비슷하다.

CNN은 "진행자가 시간을 지키고, 세련된 토론을 보장하기 위해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했다.

아시아투데이

2020년 10월 22일(현지시간)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가 테네시주 내슈빌의 벨몬트대에서 두번째이자 마지막 TV토론을 하고 있다./UPI·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토론은 국가안보·이민·기후변화 등 주제별로 진행될 것으로 보이지만, 두 후보가 상대에 대한 부정적인 비판에 집중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양자 사이의 비정상적으로 깊은 개인적 적대감이 토론의 X(예측할 수 없지만 영향력이 큰) 요소이자 전략의 핵심 고려 사항"이라며 "트럼프 캠프는 '바이든이 바이든임'을 드러내는 것이 승리 접근법이라고 보고, 바이든 캠프는 '트럼프가 트럼프임'을 드러내는 것이 이기는 토론이라고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성 추문 입막음 돈 의혹 유죄 평결, 바이든 대통령 차남 헌터 바이든의 불법 총기 구매 및 소지 유죄 평결, '고령'임을 나타내는 두 후보의 일화 등을 집중적으로 거론해 상대 후보의 약점을 유권자에게 알리는 것이 두 캠프의 토론 전략이라는 것이다.

TV 토론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미국 헌법 제1조 1항에 명시된 대선 후보 자격을 충족해야 하며, 연방선거위원회에 후보 신청을 해야 한다고 CNN은 설명했다.

아울러 대선 당선 매직 넘버인 270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주에 후보 신청을 마쳐야 하며, CNN의 보도 기준을 충족하는 등록 유권자 또는 잠재적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4개 이상의 개별 전미 여론조사에서 최소 15% 지지를 얻어야 한다.

현재까지 대선후보로 등록한 5명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해당 조건을 모두 충족했다. 무소속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는 현재까지 3개의 조사에서 15% 지지율을 넘겼고, 89명의 선거인단 확보가 가능하지만, 270명에는 크게 못 미친다. 코넬 웨스트와 질 스타인 후보가 조건을 충족 가능성은 거의 없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