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남극에 흥건한 핏물이…핏빛 폭포 왜 생겼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철분과 염분이 만든 신기한 현상

뉴시스

(사진=라이브사이언스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이혜수 인턴 기자 = 남극 대륙에 새하얀 빙하에서 피가 흐르는 것처럼 보이는 폭포가 있다. 이 폭포는 상처에서 흘러나오는 피처럼 보여 '핏빛 폭포(Blood Falls)'라 불리고 있다.

16일 미국 라이브사이언스는 '핏빛 폭포'의 물 색깔이 피처럼 보이는 이유에 대해 전했다.

'핏빛 폭포'는 남극 대륙 빙하의 갈라진 틈에서 산발적으로 흘러나와 남극 동부의 보니 호수로 흐른다. 새하얀 빙하의 표면과 대비해 눈에 띄는 핏빛 색깔로 핏빛 폭포라는 이름이 붙었다.

핏빛 폭포는 1911년 테라노바 탐험에 참여한 토마스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 발견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테일러는 붉은 물이 분출되는 것을 발견하고 빙하 계곡에 자신의 이름을 따 '테일러 밸리(Taylor Valley)'라고 이름을 붙였다.

테일러를 비롯한 동시대 사람들은 물이 붉은 이유가 홍조류 때문이라 생각했지만, 현재는 연구를 통해 다른 원인이 발견됐다.

매체에 따르면 폭포에 철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빙하에서 물이 나올 때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며 피처럼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이다.

그리고 매우 온도가 낮은 남극에서 어떻게 물이 흐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빙하에 염분 함량이 높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소금물은 어는 점이 낮다는 특성 때문에 염분 함량이 높은 핏빛 폭포가 남극 환경에서 액체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물이 녹을 땐 주변의 열을 빼앗고, 물이 얼 땐 주변에 열을 방출한다는 특성이 있다. 빙하 아래 호수는 유난히 염도가 높아 어는 점이 낮고 얼면서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주변 얼음이 녹아 폭포가 흐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철분이 풍부한 소금물이 녹으면서 빙하가 피를 흘리는 것처럼 보이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soo1025@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