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의료계 집단휴진 예고…의료대란 폭풍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비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의대 교수부터 개원의까지 의료계 전반에 총파업 전운이 감돌며 의료대란이 확산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의료계를 향해 집단휴진 결정을 철회하라고 당부함과 동시에 환자들의 병의원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고, 하루 뒤인 오는 18일에는 의협이 전면 휴진과 함께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연다.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등의 전체 임상과목 정상 진료가 이뤄지지 않는다. 병원 수술실 가동률은 30% 초반대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중증·희귀질환 환자에 대한 진료와 응급실과 중환자실, 신장투석실, 분만 진료 등은 유지한다. 비대위는 ‘당장 서울대병원 진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외면하지는 않겠다고 누누이 강조해왔다.

연세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18일 하루 대한의사협회의 집단휴진에 동참한 후,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한다. 무기한 휴진은 정부가 전공의 행정처분 완전 취소 등 요구사항을 수용할 때까지 이어갈 거라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의료계가 집단행동에 나서면서 ‘사상 최고급’ 진료 중단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의협이 의사 회원 11만1861명을 대상으로 집단행동에 관해 찬반 투표를 벌인 결과 7만800명이 참여했다. 투표한 7만800명 중 90.6%(6만4139명)가 의협의 투쟁을 지지했고, 73.5%(5만2015명)는 휴진을 포함한 집단행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의협이 지금까지 진행한 총파업 투표 중 역대 최고의 참여율이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실질적인 참여율이 높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적지 않다.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의협의 집단휴진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오는 18일 당일 휴진을 신고한 의료기관(의원급 중 치과·한의원 제외, 일부 병원급 포함)은 총 1463곳이다. 전체 3만6371곳의 4.02% 수준에 그쳤다.

정부는 의료계가 요구하는 의대 증원 무효를 수용할 수 없다며 집단휴직 계획을 철회하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90여개 환자단체가 의료계 휴진 철회 호소하고 있는데도 집단휴진 결정을 바꾸지 않는 데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어 “생명권은 우리 국민의 기본권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기본권”이라며 “정부는 헌법과 법률이 정부에 부여한 권한에 따라 생명을 다루는 의사분들에게 다른 직업에 없는 혜택을 보장하는 한편, 일부 직업적 자유를 제한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정부는 모든 대화에 열려 있고 항상 준비돼 있다. 어떤 형식이든 의료계가 원하면 만나고 논의하겠다”며 “의료계가 집단휴진을 하는 대신 의료개혁의 틀 안에 들어와 의료개혁의 브레인이 돼 달라”고 말했다.

오현승 기자 hso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