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러시아 빠진 우크라 평화회의 오늘 폐막…공동성명 채택할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식량안보·원전안전·억류자송환 촉구 예상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평화회의가 열리는 스위스 뷔르겐슈톡 리조트의 회의장 모습
[스위스 연방정부 사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네바=연합뉴스) 안희 특파원 =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을 협의하기 위해 각국 고위 인사가 모인 우크라이나 평화회의가 16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일정을 마무리한다.

스위스 니드발덴주(州)의 휴양지 뷔르겐슈톡에서 열린 이번 회의에는 영국과 프랑스, 독일, 일본 등 57개국 정상급 인사를 비롯한 100여개국 대표가 모였다.

전날 회의장에 속속 도착해 분과회의 등에 참여한 각국 대표들은 이날 코뮈니케(공동성명)를 채택할 예정이다.

비올라 암헤르트 스위스 대통령은 전날 회의장에서 "우리는 모두 결정적인 첫걸음을 내디딜 것"이라며 "아직 갈 길이 멀더라도 한 단어, 제안 한 가지라도 더 합의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동성명은 글로벌 식량 안보와 우크라이나 원전 안전, 전쟁포로 및 민간 억류자 등에 대한 인도적 조처 등 이번 회의의 핵심 의제별 논의 결과를 담는다.

흑해와 아조우해 항구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접근권을 보장해 현지 농산물이 제3국에 안전하고 자유롭게 제공돼야 한다는 요구가 공동성명에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가 점령 중인 자포리자 원전의 통제권을 우크라이나에 다시 돌려주고 전쟁 포로의 완전한 교환·석방과 강제이주된 우크라이나 아동을 포함한 모든 민간인의 안전한 송환 등을 촉구하는 내용도 포함될 전망이다.

러시아가 특별군사작전이라고 일컫는 분쟁 상황은 러시아가 일으킨 '전쟁'으로 공식화돼 공동성명에 담길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은 공동성명 초안 내용을 입수해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는 영토보전을 촉구하는 내용도 초안에 담을 것을 주장하고 있지만 채택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분쟁 상황에 대한 규정부터 판이한 러시아는 이번 회의에 불참했다. 우방인 중국 역시 회의에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고 사우디아라비아와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도 정상급 인사가 참여하지 않았다.

미국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조 바이든 대통령 대신 회의장에 나왔다. 우리나라에선 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이 회의에 참석 중이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이탈리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바로 이어 참석했다.

우크라이나 지원에 우호적인 국가 정상들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암헤르트 스위스 대통령 등이 논의를 주도했다.

전쟁의 직접 당사국인 러시아는 개최 전부터 회의의 의미를 깎아내렸다.

오히려 회의 개막 전날인 14일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 점령지에서 우크라이나가 군대를 철수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을 포기하면 휴전하고 대화에 나서겠다는 역제안을 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우크라이나는 항복과 다른 없는 요구라며 즉각 거부했고 미국을 비롯해 평화회의에 참여한 서방 국가들도 비판 메시지를 냈다.

prayerah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